- 영문명
- Effect of the Supplementation of DHA-Rich Fish Oil during Gestation, Lactation, and Growth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Cerebral Cortex and Maze-Learning Abilities in Rats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이주희(Lee Ju hee) 김지원(Kim Ji won) 최혜미(Choi Hye mie) 이홍미(Lee Hong mie)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생활과학연구논총 제21권 제1호, 1~1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docosahexaenoic acid (DHA) on the tissue fatty acid compositions and learning abilities of rat. Three experimental diets contained 10% (w/w) dietary lipids; corn oil based diet with perila oil (CO), corn oil based diet with fish oil (CF), and fish oil based diet (FO). Sprague Dawley female rats were fed experimental diets for approximately 2 weeks prior to mating and throughout gestation and lactation. Pups were weaned to the same diet of dams at 21 days after birth. Hepatic microsomal membrane fatty acid composition,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contents and the activities of glucose 6-phosphatase (G6Pase) were measured at 7 weeks in female and 10 weeks in male rats. Cerebral cortex fatty composition and the activities of acetylcholinesterase were measured at 7 weeks. Learning abilities were tested at 8-10 weeks of age with Y water maze.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cerebral cortex were minimally, but significantly affected by that of dietary lipid than that of hepatic microsomal membrane; DHA contents were 19.2%, 20.4% and 21.9% in cerebral cortex and 8.92%, 14.2% and 19.4% in hepatic microsomal membrane of 7 week old female rats of CO, CF and FO groups. TBARS contents were the lowest in FO group at 10 weeks, and the activities of G6Pase were not affected by the experimental diets. The activity of acetylcholinesterase and learning abilities were not different among three groups. Therefore, dietary DHA supplementation to the diet with normal n-6/n-3 ratio and adequate amount of n-3 fat did not seem to promote brain functions determined in this study, nor lipid peroxidation and membrane completeness, despite significant small increase of DHA level in cerebral cortex.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현대패션에 표현된 죽음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 흰쥐에서 임신, 수유, 성장기 동안 어유의 섭취가 대뇌피질의 지방산 조성과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최근 스웨덴 가족정책의 특징과 정책적 함의
- 공공임대아파트와 분양아파트 유형별 관리비 비교
-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회복탄력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시각장애인 관점의 청주시 서원구 소재 의원 접근성 실태
- 금융소외자의 서민금융 대출상품 이용에 따른 대출 이용특성에 관한 연구
- 모듈러 하우징 단위세대 계획을 위한 대학생 1인가구 선호도 조사
-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훈육방식과 정서특성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 2011-2014 국내 의류학 전문 학술지에 발표된 의류소재 분야의 연구동향
- 여대생의 미투 화장품에 대한 인식과 구매의 결정요인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농촌지도와 개발 32권 2호 목차
- AHP 분석를 활용한 지속가능한 농촌관광 커뮤니티 비즈니스 성공요소 - SLEN모델을 기반으로
- 청년농업인 교육만족도 영향요인 - 영농정착교육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