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Classroom Strategies for the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발행기관
- 전북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황은숙(Hwang Eun Suk)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제15권 제1호, 42~62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2.28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익산시내 초등학교 교사들이 ADHD아동을 교육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효과적이라고 인식하는 교실전략에 대해 조사하였다.
조사 분석 결과, 사용빈도와 효과성 평정이 가장 높은 전략은 일상적인 습관과 규칙 강조, 빈번한 접촉, 토큰강화로 나타났다. 사용빈도가 가장 낮은 전략은 과제수정, 개별행동 프로그램, 또래교수, 환경수정 전략이고, 효과성 평정이 낮은 전략은 타임아웃, 정해진 좌석에 앉히기, 교육과정 수정 전략으로 나타났다.
전략의 효과성 평정과 학년 수준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검증을 한 결과, 15개 전략 중 6개 전략, 즉 토큰강화, 반응대가, 행동에 대한 자기모니터링 가르치기, 과제수정, 또래교수, 감각기관 조절 전략이 학년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질적 분석 방법으로 자유응답식 질문을 한 결과, ADHD아동 교육 발전을 위해서는 더 많은 교육과 훈련, 교실에 특별한 교육적 지원의 확대, 특수한 교수전략, 부모와 교사의 협력, 그리고 학급규모의 축소 등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classroom strategies which were commonly used and perceived as being effective for the education of the children with ADHD by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in Iksan city.
The survey revealed that the strategies which had the highest frequency and effectiveness ratings were emphasis on the daily routine and rules, frequent contact, and token system. The ones which had the lowest frequency were assignment modifications, individual behavior program, peer tutoring, and environmental modifications. And the strategies having the lowest effectiveness ratings were time-out, preferential seating, and curriculum modifications.
Chi-squar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ratings and grade level showed some differences in 6 of the 15 strategies, that is, token system, response cost, teaching self-monitoring of behaviors, assignment modifications, peer tutoring, and sensory modulation techniques depending on grade level.
Qualitative analysis of teachers’ responses in open-ended questions provided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the education of children with ADHD, including: more education and training, increasing special educational support in the classroom, specific teaching strategies, frequent parent-teacher collaboration, and smaller class size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