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눈물소관 점막에서 돌출되어 발견된 스마트 눈물점마개 1예

이용수  0

영문명
A Case of SmartPlug Partial Extrusion through Canalicular Mucosa
발행기관
대한안과학회
저자명
최화수(Hwa Su Choi) 이승기(Seung Ki Lee) 박종석(Jong Seok Park) 김성진(Sung Jin Kim)
간행물 정보
『대한안과학회지』Ophthalmological Society,volume58,number4, 459~462쪽, 전체 4쪽
주제분류
의약학 > 기타의약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4.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스마트 눈물점마개(SmartPlug)를 삽입한 환자에게서 국내에 현재까지 보고되지 않은 합병증으로, 눈물점마개가 눈물소관 점막을 통해 스스로 돌출되어 발견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62세 여자 환자가 약 1주 전 발생한 우안의 고름형태의 분비물과 충혈을 주소로 본원 안과 외래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쇼그렌증후군에 의한 건성안으로 12년 전 좌안, 9년 전 우안 아래 눈물점에 스마트 눈물점마개를 삽입한 기왕력이 있었다. 이외에 다른 특이병력은 없었다. 외래 내원 당시 측정한 환자의 교정시력은 양안 1.0이었으며 안압은 양안 14 mmHg였고, 우안 아래 눈꺼풀 내측에서 발적, 부종 및 압통이 관찰되었다. 우안의 아래 눈물점을 통한 눈물길 관류검사에서 관류가 부분적으로 통과하는 소견이 확인되었고, 아래 결막구석 내에 다량의 분비물과 결막충혈이 관찰되었다. 눈물점 아래쪽에서 눈물소관 결막을 뚫고 돌출되어 있는 경계가 명확한 1 × 1 mm의 노란색 이물질을 발견하였고 결막이물제거술로 쉽게 제거되었다. 이물질이 있던 자리에는 원형의 결손을 남겨 항생제 치료하였고 약 4주 후 특이소견 없이 정상으로 되돌아왔다. 결론: 스마트 눈물점마개를 삽입한 기왕력이 있는 환자가 충혈과 분비물을 주소로 내원하였을 때 또 다른 합병증으로 스마트 눈물점 마개의 돌출을 고려해야 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o report a case of a SmartPlug that partially extruded through the canalicular mucosa. Case summary: A 62-year-old female patient visited our Department of Ophthalmology for redness and discharge in her right eye that began worsening a week prior.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severe dry eye syndrome via Sjogren s syndrome. The SmartPlug was inserted into her left lower punctum 12 years prior, and another plug was inserted in the right 9 years prior. Nothing notable was found in her history. The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and intraocular pressure at the initial visit was 1.0 and 14 mmHg, respectively, in both eyes. Swelling, erythema, and tenderness at the right lower punctum were identified. As we irrigated the lower lacrimal system, partial obstruction was suspected and a large amount of mucopurulent discharge in the conjunctival fornix with conjunctival injection was seen. Under the right lower punctum, a 1 × 1 mm yellowish foreign body was partially extruding from the canalicular mucosa. The foreign body was removed, and a round defect was left. The patient’s symptom completely resolved after 4 weeks of topical antibiotics and ointment treatment Conclusions: In patients who have a SmartPlug inserted prior to visits for redness and discharge, a SmartPlug plug extrusion should be considered.

목차

증례보고
고 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화수(Hwa Su Choi),이승기(Seung Ki Lee),박종석(Jong Seok Park),김성진(Sung Jin Kim). (2017).눈물소관 점막에서 돌출되어 발견된 스마트 눈물점마개 1예. 대한안과학회지, 58 (4), 459-462

MLA

최화수(Hwa Su Choi),이승기(Seung Ki Lee),박종석(Jong Seok Park),김성진(Sung Jin Kim). "눈물소관 점막에서 돌출되어 발견된 스마트 눈물점마개 1예." 대한안과학회지, 58.4(2017): 459-4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