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수업에서의 IB 교육과정 도입 및 프로그램 설계
이용수 2,333
- 영문명
- Designing, Creating and Instituting a Korean Language Arts Curriculum for the IB School Program: Focusing a Local International School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미강(Kim Mi k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17권 7호, 169~18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4.15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이중 언어 교육을 목표로 교육과정을 실행하고 있는 국제학교의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와 실제 사례에 대한 소개와 이를 분석하고 교육과정의 실행을 통한 이중언어 교육의 방향성과 통합 교육과정 구성에 대한 탐색의 방향을 제안한다. 국제교육과 정인 IB 교육과정과 PYP 교육과정을 소개하고 국제학교와 학력인증이라는 특수한 상황의 이중언어 학습자들에게 PYP 교육과정과 국어교육과정을 접목하여 개발된 통합교육과정의 실행 과정에 대한 사례를 제시하고 이해하는 바가 초점이다. 본 연구는 초등 2학년 PYP 프로그램의 과정과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국어, 사회, 과학의 교과목의 내용을 PYP 단원 주제 아래 통합의 방식으로 계획안을 작성하였으며, 36주 간의 1년 프로그램의 계획안의 일부이다. 이를 통하여 IB 교육과정과 우리나라 국가수준의 교육과정과의 접목 사례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에 시사 하는바가 무엇이고, 더 나아가 우리나라 교육과정 및 초등교육과정연구와 이중언어 및 다중언어의 학생들의 언어 수업에 합당한 교육과정 설정 및 수업 방법 탐색과 응용에 대한 준거를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제안하는 연구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introduce the application of bilingual education in the curriculum of international schools. Through analysis and practice of the curriculum, this study proposes the direction of bilingual education and suggestions for Korea s Creativity and Convergence curriculum. The study focuses on introducing the international curriculum of International Baccalaureate (IB) and Primary Years Programme (PYP), and analyzing the process of Convergent learning used in real life situations for students who are awarded a certificate for completing Korean curriculum at international schools. This study is the part of PYP program of 2nd grade for 36 weeks based on Korean national program such as Korean, Korean society and Science under the PYP theme. The study will further help to understand the Korean curriculum and the reasonable standards of exploration and application of the curriculum, Bilingual and multilingual language clas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IB 교육과정에 대한 이론적 고찰
Ⅲ. PYP 교육과정 도입 및 접목 사례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교감의 감성적 리더십, 교사의 긍정심리자본, 교사의 교직헌신 간의 구조적 관계
- 교육적 측면에서 학생선수의 승부근성과 공감능력 및 학교생활 적응의 관계
- 학업성취에 대한 유동지능, 결정지능 및 성격 요인의 구조적 관계
- Pedagogical Implications of Intercultural Competence
- 경향점수를 이용한 학교급별 사교육 요인 분석
- 북한 이탈 주민 대학생의 북한말 및 사회언어적 배경을 활용한 영어 교수법 활용 연구
- 간호대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임상실습 수행능력 및 임상실습 관련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 시뮬레이션 사전학습 동영상 교육매체 개발 및 적용
- 마라톤동호인의 운동선수정체성과 운동몰입이 운동 자기-도식과 지속행동에 미치는 영향
- 영아교사의 자기효능감, 교사효능감, 보육신념이 영아발달에 미치는 영향
- 일본 유아교육기관의 자연친화형 실외활동공간 사례연구
- 광주지역 간호사의 보수교육 현황 및 교육요구도 조사
-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학생들의 진로고민과 중도탈락에 대한 갈등요인 탐색
- 인도네시아 무슬림 유학생의 문화충격을 통한 한국의 문화적 특성 이해
- Values of Bodily Play in Young Children s Peer Culture: Re-conceptualizing children s social competence
- 고등학생의 사회불안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지층과 화석’단원에 대해 초등 예비 교사가 개발한 평가 문항 분석
- 내러티브를 활용한 사회과 수업지도안 구성연구
- 어린이집 교사 핵심역량 모델링
- 공감기반학습모형을 적용한 고등학교 1학년 국어과 수업 사례 연구
- 회귀혼합모형을 적용한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대한 자아존중감과 성취목표 및 자기주도 학습능력 관계의 잠재계층 분류 및 예측 요인 탐색
- 3D 프린터의 특수교육적 활용을 위한 특수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 분석
- 메타시의 문학 교육적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로크의 『통치론』이 아동의 권리에 주는 함의
- 2015 개정 고등학교 기술ㆍ가정 과 교육 과정에서 기술 시스템 영역의 첨단 기술 성취 기준을 위한 로봇 체험활동 과제 개발
- 고등학교 체육수업 형태에 따른 신체활동량과 인식 분석
-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수업에서의 IB 교육과정 도입 및 프로그램 설계
- 대학교 규준지향평가 방법 개선을 위한 게임화(Gamification) 전략 활용 방안 탐색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종주의 그림책에서 나타난 타자와 환대윤리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