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방송에 나타난 지역의 ‘이중소외’ 현상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106
-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ouble Marginalization’ Shown in the News Reporting of KBS and KBS Daejeon
- 발행기관
-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 저자명
- 양선희(Yang, Seon Hee) 김재영(Kim, Jae Young)
- 간행물 정보
-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제11권 3호, 109~12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역성은 헌법과 방송법에 명시된 핵심가치다. 2014년에 시행된 지역방송발전지원특별법은 방송을 통한 지역성 구현이 여전히 중요한 과제임을 대변한다. 그럼에도 지역방송은 중앙에 의해 내부 식민지화된 현실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광역화가 유력한 대안으로 진행되고 있으나 그 효용성은 불투명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기간방송 KBS의 저녁종합뉴스인 <뉴스9>를 대상으로 서울본사에서 전국으로 내보내는 지역뉴스와 대전방송총국에서 제작해 대전⋅충남⋅세종 권역에 송출하는 지역보도를 뉴스주제, 보도형식, 취재원 활용 측면에서 비교분석했다. 대전⋅충남⋅세종을 권역으로 한 KBS대전방송총국은 전국에서 유일하게 광역화된 지역방송이기에 광역화와 지역성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유용하다는 판단에서다. 분석결과 충남은 ‘서울’과 ‘대전’이라는 각기 다른 규모의 ‘중앙’으로부터 주변화 되면서 이중소외를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과 주변이라는 우리 사회의 뿌리 깊은 종속구도가 지역 안에서도 되풀이되는 것이다. 이는 현재 진행 중인 광역화가 지역방송의 활로라기보다 지역 시청자의 이탈을 부추길 위험요소가 다분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Locality is a core value of the Constitution and Broadcasting Act. The special law for local broadcast development & supportenacted in 2014 represents locality is still an important task to pursue. Nevertheless, local broadcasting is a type of internal colonialism. Widening areas of broadcast emerge as they are recognized as a viable alternative, but its effectiveness is opaque. This study analyzes local news of KBS and KBS Daejeon evening news program, News 9 in terms of news topic, report format and sources. KBS Daejeon is perfect for the analysis, as the only one that spans across a broad region including Daejeon, Chungnam and Sejong. Accordingly, this case
provides insight for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roadcast area-widening and locality. The study shows a double marginalization. Chungnam is marginalized from both Seoul and Daejeon which plays a deep-rooted vital role. In this regard, this study suggests that expanding areas of broadcast tends to decrease the size of local audience, rather than revitalizing local broadcast channel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