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form of the UN Human Rights System : Problems and Prospects
- 발행기관
- 국제법평론회
- 저자명
- 정경수(Kyung Soo Jung)
- 간행물 정보
- 『국제법평론』제24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0.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유엔은 1945년 설립 직후부터 국제적 인권보호의 중심축이 되어 왔다. 유엔은 유엔인권체계라고 불리는 거대한 규범, 기구, 절차들을 확립하였다. 인권의 국제적 증진과 보호는 그 체계 속에서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왔다. 그러나 그 체계에 내재된 불완전성과 누적된 모순은 유엔인권체계의 새로운 변신을 모색하도록 만들었다.
유엔은 인권주류화를 목표로 삼고 중요한 개혁을 도모하고 있다. 개혁의 핵심은 민권이사회의 신설이다. 유엔은 조직의 방만함과 활동의 비효율성, 인권쟁점에 대한 감수성 부족과 정치적 편견에 대한 비판을 받아온 인권위원회를 대신하여 총회 산하에 인권이사회를 신설하였다. 이 외에도 인권고등판무관실의 강화와 조약체계의 정비 및 개선이 모색되고 있다.
이러한 유엔인권체계의 개혁을 위한 다양한 노력이 수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개혁의 내용은 국제질서의 기본 흐름을 변경시킬 수 있는 수준에까지 이르지는 않고 있다. 오히려 기존 체계의 개선에 가깝다. 그런 의미에서 볼 때, 현재 진행되고 있는 유엔인권체계의 개혁은 여전히 진행중인 과제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United Nations has become a essential pillar for international human rights protection since its inauguration in 1945. The United Nations established so-called the UN Human Rights System, a huge system of norms, bodies and procedures, which has been contributing to the promotion and protection of human rights. However, some incompleteness and contradiction inherent in the system raise the need for a new reform.
The United Nations is driving some important reforms with the aim of making human rights the mainstream of the United Nations. There have been some essential reforms such as enhancing efficiency in human rights bodies, increasing sensitiveness to human rights, dealing successfully with political prejudice against the issue of human rights, and establishing the Human Rights Council under the UN General Assembly instead of the Commission on Human Rights. In addition, there are preparations for encouraging the role of the office of the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and consolidating the treaty bodies into one bodies.
Despite various efforts to reform the UN Human Rights System, contents of the reform are still far from changing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the System. In a way, it is more likely to “improve” the system rather than to “reform or change.” In this context, the reform of the UN Human Rights System can be understood as a still-on-going issue of the United Nations.
목차
Ⅰ. 유엔인권체계의 발전과 구조
Ⅱ. 헌장체계의 조직개혁
Ⅲ. 조약체계의 활동개혁
Ⅳ. 21세기 유엔인권체계의 과제와 전망
〈국문 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