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와 그 시사점

이용수  313

영문명
China’s legislation practices with punitive damages and their implications for Korea
발행기관
한국정보법학회
저자명
이인규(Lee, In-Gyu)
간행물 정보
『정보법학』제19권 제3호, 179~20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법학 > 민법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대 대량소비사회에서는 가해자의 행위가 악의적이고 반사회적일 경우 전통적인 塡補적손해배상만으로는 효과적인 규율이 어렵다. 이에 따라 종래의 민사상 불법행위책임에 형벌적 성격의 벌금을 혼합한 징벌적 손해배상의 도입 및 확장 필요성이 주 장된다. 영미법에서 유래한 징벌적 배상제도가 대륙법계인 우리나라에서도 2011년<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에 그리고 2015년에는 <개인정보보호법>에 각각도입되었으며 그 도입의 확장을 둘러싼 찬반논의가 있다. 징벌적 손해배상제도가 발 달한 영미법과는 달리 대륙법계에서는 아직 입법례가 많지 않으나 중국은 실용적인 관점에서 이미 수 개의 개별법에 의해 동 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우리나라 보다 이른1993년에 <소비자권익보호법>을 시작으로 <계약법>, <식품안전법>, <불법행위법>,<관광법>, <상표법>등에 규정되었고 2015년에는 <식품안전법>을 개정하여 징벌적배상책임을 강화한 바 있다. 앞으로도 징벌적 배상제도를 도입하는 개별법규가 점차 확대될 추세에 있고 심지어는 입법이 추진 중인 민법전에 일반규정으로 도입하는 방안도 거론되는 상황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징벌적 손해배상제도가 입법상 도입초기단계이나 앞으로 소비자보호⋅공정거래⋅식품위생⋅제조물책임⋅환경침해⋅언론구제등 당사자간의 관계가 대등하지 않은 사회영역에서 유용한 법정책적 수단이 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같은 대륙법계인 중국의 입법사례는 그 장단점의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의 입법논의에 있어서 중요한 참고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In today’s mass consumption society, the traditional compensatory damages alone would not have a sufficient disciplinary effect when the offender’s misconduct is in bad faith and antisocial. For this reason, there is a demand for punitive damages – a combination of civil liability for tort actions and penal fine – to be introduced and enforced on a broad basis. Korea is one of the countries that primarily practice civil law. However, it has incorporated in and in 2011 and 2015, respectively, the punitive damages which are based upon common law. In contrast to common law-based laws where punitive damages are an established practice, civil law-based laws have incorporated the provisions only in a limited basis. Meanwhile, China has taken a practical approach and is already implementing punitive damages in individual laws. The country has taken an early move to introduce punitive damages in in 1993, followed by , , , , and . Taking a step further, introduction of punitive damages as a general provision in Chinese Civil Code is under discussion. Korea is still in its early stage in introducing punitive damages by legislation. Apart from the two laws that currently provide the provisions, punitive damages will provide an effective legal means in many areas such as consumer protection, fair transaction, food sanitation, product liability, environment pollution, and press arbitration and remedy where the parties involved are not equal in their relations. In the aforementioned areas, punitive damages are expected to be more broadly applied given its functions of punishment, prevention and deterrence of unlawful acts. In this context, China’s legislation practices with punitive damages will provide a useful reference for legislation in Korea as Chinese laws are also based on continental-law principles.

목차

Ⅰ. 머리말
Ⅱ. 각국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
1. 영미법계와 대륙법계
2. 우리나라
3. 중국
Ⅲ. 중국에서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의 입법
1. <소비자권익보호법>
2. <계약법>
3. <식품안전법>
4. <불법행위법>
5. <관광법>
6. <상표법>
Ⅳ. 현행 중국 입법의 문제점
1. 적용범위 협소
2. 배상금액 산정의 불합리
3. 각 개별 법규의 통일성 결여
4. 각 개별법규의 경합
5. 관련문제
6. 소결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인규(Lee, In-Gyu). (2015).중국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와 그 시사점. 정보법학, 19 (3), 179-201

MLA

이인규(Lee, In-Gyu). "중국의 징벌적 손해배상제도와 그 시사점." 정보법학, 19.3(2015): 179-2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