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On Some “Early Palaeolithic” Evidence of Japan – A Personal Observation

이용수  50

영문명
On Some “Early Palaeolithic” Evidence of Japan – A Personal Observation
발행기관
한국구석기학회
저자명
Seonbok Yi
간행물 정보
『한국구석기학보』제26호, 49~62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0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일본의 구석기시대 연구에서 소위 “전기구석기”에 대해서는 아직 많은 점이 불확실하다. 일본의 “전기구석기”가 “Lower Palaeolithic”이 아니라 “Early Palaeolithic”이라고 번역되고 있다는 점이 말해주듯, 이 용어는 1965년 전형적인 후기구석기가 등장하기 이전의 시기를 가리키는 일본학계의 특유한 개념이다. “전기구석기”와 관련된 자료는 1950년대와 60년대에 도호쿠대학 조사단이 발견한 자료가 아직도 중심을 이루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오이타 현의 소즈다이 유적, 나가사키 현의 후쿠이 동굴 유적, 군마 현의 공게야마 유적, 무코야마 유적, 호시노 유적 등을 꼽을 수 있다. 소즈다이 유적의 경우, 소위 구석기층의 연대가 4만 년 전보다 앞선 시기일 가능성이 있지만, 유물로 분류된 석기중 많은 것은 자연적으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그러나 일부 석영제 석기와 멀리 떨어진 산지로부터 수입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원석이 존재할 가능성을 감안한다면, 구석기 유물이 살아남아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을 것이다. 무코야마 및 호시노에서 수습된 자료 중 많은 것은 석기로 분류 함에 문제가 없다고 보인다. 1950년대에 공게야마 및 인근의 여러 지점에서 발견된 자료는 세련된 형태의 석기임에 틀림없다고 보인다. 유적의 층서 파악이 불가능한 현 시점에서 더 이상의 평가는 불가능하 지만, 그 전반적 형태와 기법은 유럽의 중기 구석기를 연상시키는 점이 있다. 전반적으로 볼 때 아직 많은 점이 불확실하지만, 일본에 보다 전형적 후기구석기 보다 이른 시기의 구석기 자료가 존재할 가능성은 크다고 여겨진다.

영문 초록

목차

Ⅰ. Preface
Ⅱ. Sozudai
Ⅲ. Hoshino and Mukoyama
Ⅳ. Gongeyama, Kiribara, Yamanoderayama and Fujiyama
Ⅵ. Concluding Remark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Seonbok Yi. (2012).On Some “Early Palaeolithic” Evidence of Japan – A Personal Observation. 한국구석기학보, (26), 49-62

MLA

Seonbok Yi. "On Some “Early Palaeolithic” Evidence of Japan – A Personal Observation." 한국구석기학보, .26(2012): 49-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