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Endscraper of Hopyeong-dong Upper Paleolithic Site, Namyangju.
- 발행기관
- 한국구석기학회
- 저자명
- 김소영(Kim, Soyoung)
- 간행물 정보
- 『한국구석기학보』제26호, 23~4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밀개는 후기구석기시대의 대표적인 표준유물이자 생활도구이다. 생활에 밀접한 도구임에도 그간의 연구는 밀개의 형식학적 분류에 치중되어있어 밀개제작 배경이나 과정, 사용과 관련된 접근이 부족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밀개의 제작사슬(Chaîne opératoire)을 복원하기 위해 석기제작기술적 관점에서 남양주 호평동유적 밀개의 돌감획득, 밑감생산을 다루었고 현미경을 통한 사용흔분석 결과를 참고하여 밀개의 사용에 대해 주로 2문화층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호평동유적에서 밀개의 생산은 돌감에 따라 근거리획득 돌감(석영), 원거리획득 돌감(흑요석, 혼펠스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석영은 주로 맥암을 통한 석기제작이 활발하여 그 과정에서 발생한 몸돌, 격지, 돌조각에 볼록날밀개, 콧등날밀개를 제작하였다. 또 (유)백색의 질이 좋은 석영을 통해서는 주로 소형의 밀개를 격지에 만드는 양상을 보인다. 원거리획득 돌감을 이용한 밀개 제작은 크게 유적 내에서 좀돌날 공정과 좀돌날-돌날공정에서 발생한 격지와 돌날에 만든 손톱모양밀개와 돌날밀개가 특징적이며 일부 밀개의 경우 외부에서 반입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밀개의 사용은 주로 가죽손질과 관련있으며 가죽손질의 공정과정과 가죽의 상태에 따라 각기 다른 형태의 밀개가 사용되었을 것이다. 사용 후 폐기는 다양한 변수가 있지만 특히 돌날밀개를 중심으로 사용 중 부러짐이 확인되며 석영 돌조각에 만든 밀개의 다수는 효율성이 낮기 때문에 유적의 폐기와 함께 폐기된 것으로 보인다.
호평동유적 2문화층에서 밀개의 다양한 형식 증가는 새로운 돌감 및 밑감의 활용 그리고 발달된 제작 기법과 밀개 사용의 세분화로 인해 발생한 변화가 유기적으로 결합한 결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precedent studies on the end scraper excav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r have mainly focused on analysis of its attributes, based on typology. This paper aimed at investigation into characteristics of endscraper-making in the Upper Paleolithic Age, as well as the whole life of the endscraper which was excavated from the Hopyeong-dong site, Namyangju. The site was formed in the early period (1st cultural layer, between 30,000 and 27,000 years ago:27 pieces) and the interim period (2nd cultural layer, between about 24,000 and 16,000 years ago:102 pieces) of the Upper Paleolithic Age.
With consideration of Chaîne opératoire, the endscraper of Hopyeong-dong site was made of quartz acquired at a close range and hornfels or tuff acquired at a long range. Milkywhite and high-quality quartz in the 2nd cultural layer minute retouch was found, which shows more diversification in use of quartz and reach beyond the limit of use of raw material.
The endscraper made of hornfels or tuff was made on flake and blade. In the site, two raw materials were used for production of micro blade or blade-microblade debitage. In tChaîne opératoirehis regard, it seems that the blade was acquired in such process or came in the form of an already finished tool.
In view of the use of the endscraper, an investigation into skin retouch was mainly made, on the basis of results from microscopic usewear analysis. The endscraper on blade or with the thickness retouched was made by skin retouching with a handle mounted. It seems that there were specific places for using the endscraper and it came into disuse in case of being broken or damaged on blade. Finally, production of endscrapers was closely connected with debitage systems of sites and living conditions.
목차
Ⅰ. 머리말
Ⅱ. 근거리획득 돌감의 밑감생산
Ⅲ. 원거리획득 돌감의 밑감생산
Ⅳ. 밀개의 사용과 폐기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