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남양주 호평동 지새울 II 구석기 유적 석기 기능 분석

이용수  222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구석기학회
저자명
김경진 김영준
간행물 정보
『한국구석기학보』제26호, 3~21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12.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남양주 호평동 지새울 II 구석기 유적은 기존의 지새울 유적의 북동쪽 사면과 구릉 정상 부에 인접해 있다. 유적의 문화층은 암갈색 점토층의 상부와 하부에서 출토되어 각각 제1문화층, 제2 문화층으로 구분하였으며, 제1문화층은 남양주 호평동 지새울 유적의 숯에 대한 연대측정 결과가 약 20,000yrs B.P.로 도출되어 이와 유사할 것으로 판단된다. 출토되는 유물은 모두 석영맥을 이용하였는데 유적 주면의 지표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돌감이다. 1문화층과 2문화층에서 모두 111점의 유물이 수습되었으나 잔손질된 석기의 비중이 높지 않으며, 구성 또한 밀개와 긁개 위주로 단순하다. 선사인들의 생활 속에서 직접적으로 제작, 사용되어 그들의 생활과 문화를 반영하고 있는 석기 분석을 통해 그들에 대한 다양한 정보들을 이해하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호평동 지새울 II 구석기 유적의 전반 적인 소개와 함께 출토된 석기에 대한 쓴자국 분석을 통한 도구의 기능 해석을 그 목적으로 한다. 호평동 지새울II 구석기 유적에서 출토되는 석기의 52점(47%)을 선별하여 쓴자국 분석을 하였다. 그결과 15점(29%)에서 흔적이 관찰되었다. 주로 가죽과 뿔, 뼈와 같은 단단한 동물 재료에 의해 형성된 흔적들이었다. 밀개의 경우 가죽 작업에 사용된 흔적이 관찰되었고, 긁개에서는 가죽 흔적 1점을 제외하고는 모두 단단한 동물 재료에 사용된 흔적들이었다. 그리고 잔손질이 가해지지 않은 조각들에서는 단단한 동물 재료에 의해 형성된 흔적들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이를 토대로 유적에서 단단한 동물 재료에 대한 작업이 주로 이루어진 것으로 해석 할 수 있지만 이에 앞서 석영 석기의 단단하기로 인해 부드러운 재료가 단단한 동물 재료에 비해 흔적 형성이 어렵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이 점에 대한 분석이 아직 충분하지 않지 않고, 출토 석기에서 관찰되는 흔적의 양이 많지 않으며 잘 발달하지도 않았기 때문에 유적의 기능에 대한 해석을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료들이 축적되고 인근 유적들과의 비교 연구가 함께 이루어진다면 각 유적이 가지는 특징적 기능과 유적간의 상호관계를 확인하고 더 나아가 이 지역의 후기 구석기시대 문화상을 밝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목차

I. 머리말
II. 유적 소개
III. 출토유물 양상
IV. 쓴자국 분석을 통한 석기의 기능 유추
V.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진,김영준. (2012).남양주 호평동 지새울 II 구석기 유적 석기 기능 분석. 한국구석기학보, (26), 3-21

MLA

김경진,김영준. "남양주 호평동 지새울 II 구석기 유적 석기 기능 분석." 한국구석기학보, .26(2012): 3-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