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Konflikt bei der Zusammenlegung von Shi und Gun und sein rechtsinstitutionelles Management
- 발행기관
- 한국지방자치법학회
- 저자명
- 강기홍(Kee-Hong Kang)
- 간행물 정보
- 『지방자치법연구』11권 4호, 155~18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법학 > 민법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고, 그 한 내용을 구성하는 시․ 군 통합에 있어 발생하는 갈등을 사례를 통해 분석하고, 그 해결방안을 법제도적인 측면에서 마련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특별법이 의도하는 시․군 통합의 본질을 살피 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갈등의 유형을 성공과 실패사례로 나누어 그 원인을 지방행 정체제 개편에 관한 특별법상의 절차와 비교하면서 분석하였다.
이들 다양한 원인들을 사전 예방적 차원에서 해소하기 위해, 1) 이익주체들의 합의가 아우러질 수 있는 合意點의 발굴, 2) 住民에 의한 그리고 住民을 위한 통합이 중요 하다는 의미에서 down-up 방식의 준수, 3) 통합효과는 長期的인 시간을 요하기 때문 에, 통합효과와 관련한 장기적인 안목의 제시, 4) 통합이 논의되는 경우, 주민과 관계자 들에게 충분한 논의의 기회와 정확한 情報를 제공할 것과, 5) 통합추진위원회에 대한 적정한 財政的 지원과 관련 규정의 정비를 제시하였다.
입법정책적인 결론으로, ‘통합의 문제는 절차의 문제’라는 점을 강조하는 의미에서 ‘지방자치단체의 통합에 관한 節次法’의 제정을 제안해 보았다.
영문 초록
Im Hinblick auf das Koreanisch Besondere Gesetz über Gebietsreform der Kommunalen Verwaltung handelt die Arbeit von Konflikt und Management gegenüber den Konflikten bei Zusammenlegung von Shi und Gun. Dafür beinhaltet sie die Analyse über die Ursache des Konfliktes, und versucht sie rechtlich einige Lösungen vorzuschlagen.
Unter diesem Ziel besteht sie aus insgesamt fünf Teile; zum ersten Teil kommt die Darstellung über die Bedeutung der Zusammenlegung von Shi und Gun im Koreanisch Besonderen Gesetz über Gebietsreform der Kommunalen Verwaltung. Zum zweiten Teil wird das Wesen der Zusammenlegung von Shi und Gun im obig genannten Gesetz untersucht. Im dritten Teil werden die verschiedenen Formen des Konfliktes und seine Ursache analysiert. Im vierten Teil versucht der Verfasser die rechtsinstitutionellen Lösungskonzept über Zusammenlegungskonflikt von Shi und Gun.
Zum Schluss betont der Verfasser als rechtspolitscher Vorschlag ein Verfahrensgesetz über Gebietsreform der Kommunalen Verwaltung.
Insbesonderes im Zusammenhang mit dem rechtsinstitutionellen Lösungskonzept schlagt der Verfasser folgend fünf Punkte: Erstens ist, den vereinbart gemeinsammen Punkt für die Getroffene zu finden. Zweitens ist, bei der Zusammenlegung von Shi und Gun den Weg von ‘down-up’ verzufolgen. Drittens ist, im Hinblick auf Wirkung der Zusammenlegung die langzeitige Perspektive zu erbringen. Viertens ist, für die Betroffene genügende Zeit und Informationen über Zusammenlegung verzusorgen.
Fünftens ist, die finanzielle Unterstützung, die sich für den Ausschuss zur Zusammenlegung richtet, zu ordnen, und die betroffene Vorschfriften zu ändern.
목차
Ⅰ. 서언
Ⅱ.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관한 특별법상 시․군 통합의 본질
1. 통합의 목적
2. 통합의 방법
3. 통합의 절차
4. 통합의 효과
Ⅲ. 시․군 통합에 따른 갈등의 유형
1. 시․군 통합의 사례
2. 시․군 통합에 따른 갈등요인
Ⅳ. 시․군 통합의 갈등에 대한 법제도적 해소방안
1. 이익주체들의 합의가 이루어 질 수있는 合意點의 발굴
2. Down-up 방식의 준수
3. 통합효과에 대한 장기적인 안목 제시
4. 충분한 논의의 기회 제공 및 정확한 정보의 제공
5. 조직과 재정에 대한 규정의 완비
Ⅴ. 결어: ‘지방자치단체의 통합에 관한 절차법’의 제정 검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시․군의 통합방법․절차와 외국사례 - 일본의 시․정․촌 합병을 중심으로 -
- 시․군 통합의 행․재정적 효과와 과제
- 지방자치의 헌법적 보장에 관한 담론
- 국가업무의 민영화에 관한 법적문제 - 안전영역에서의 행형부문을 중심으로 -
- 자치사무의 규정방식에 대한 입법상 개선에 관하여
- 지방교육자치의 본질과 지방교육행정기관의 구성
- 시․군 통합의 기준과 대상지역 분석 - 서부경남을 중심으로 -
- 주민자치의 규범적 실험 - 서울시 관악구 주민자치 기본조례 -
- 녹색성장 개별법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에 대한 소고
- 지방행정체제개편특별법 조명
- 미국 지방자치법상 Dillon의 원칙과 선점주의의 조화
- 지방자치제도상 주민참여법제 소고 - 주민소환제와 주민감사청구제를 중심으로 -
- 주민참여예산제도의 비교법적 연구 * - 우리나라와 브라질 뽀르뚜 알레그레(Porto Alegre)시 사례를 중심으로 -
- 시․군 통합에 따른 갈등과 법제도적 관리방안
- 중앙과 지방을 포함한 전자정부의 호환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민법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민법분야 NEW
- 서울중앙지방법원의 구속취소 결정의 의미 - 2025초기619 구속취소 결정을 중심으로
- 압수·수색 절차의 참여권자로서 ‘실질적 피압수자’의 범위와 그 요건에 대한 검토 : 임의제출에 의한 압수·수색에 한정되어 사용되는 개념인지에 대하여 - 대상 판결 : 대법원 2024. 12. 24. 선고 2023도3623 판결
- 변호인-의뢰인 특권을 형사소송법의 해석을 통해 인정할 수 있는지 - 변호사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의 제한 가능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