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실과 ‘간단한 생활용품 만들기’ 단원 교실수업 상황 분석
이용수 107
- 영문명
- A Situational Analysis of the Practical Arts’ Unit of ‘Making goods by Sewing’ Classroom Instructions in the Elementary School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윤정희(Yun, Junghee) 최지연(Choi, Jiyeon)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8권 제2호, 113~13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상황학습론에 터하여 실과 교실수업의 상황을 분석함으로써 실과 교실 수업에서는 어떤 상황들이 나타나는지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신의 수업을 공개할 의사가 있는 초등학교 교사와 그 학급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자료를 수집 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으로는 근거이론 중 형성적 접근법을 통해 원자료를 분석하였고, 연구도 구로는 수업관찰 프로그램인 The Observer XT 10.1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실과 수업에서 나타난 상황은 상황학습론에서 강조하는 ‘타자, 도구, 맥락, 환경’과 실과의 독특한 수업 방식인 ‘실습’을 관련지어 이해할 수 있었다. 실과 수업의 ‘실습’이라는 수업 방식은 수업 참여자인 학생 자신 안에서, 학생 간 또는 교사와 학생간의 여러 방향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는데 이러한 상호작용은 각 개인의 다양한 맥락과 환경이라는 특수 성이 작용하므로 교사는 교실수업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일상들을 잘 알고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 하여 여러 가지 상황에 잘 대응하는 능력이 필요하다. 또한, 실과 수업에서 발생하는 수업 상황은 차시별 수업 목표와 내용에 따라 그 전개 양상이 달라지는데 수업 중 ․ 후반으로 갈수록 학생 내 또는 학생 간 인지갈등을 통하여 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도록 ‘자아, 상호작용’과 관련된 상황이 잘일어나도록 교사가 수업 상황을 이끌어가야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quire what kinds of situations occur in Practical Arts classroom instructions of elementary school by observing and analyzing it. In order to achieve such research purpose, the data was collected by targeting teacher who wants open his instruction for the study. The main sources of the study were video files recorded on his instructions. The raw data analysis used the coding process of the emerging design, and the instructional analysis was executed using the Observer XT 10.1 observational software for the classroom instruction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Situation is shown in the classroom of the Practical arts could understand highlight the situation in the Situated learning theory others, tools, context, environment and the practice was unique teaching methods of the Practical Arts.
The practice was teaching methods of the Practical arts in the classroom student participant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or between student interaction took place in several directions. This interaction was called the individual peculiarities of a variety of contexts and environments acts, so arising from the classroom teacher to know many different variables to consider every day a variety of situations requires the ability to respond well.
Also, the situations occurring in the Practical arts classroom vary aspects of development depended on periods objectives and contents. Toward the middle of the second half of class teacher have to leads up teaching situation well as ego, interaction to occur to help solve problems through cognitive conflict within or among students.
목차
I. 서론
II. 실과 교실수업 이해의 관점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IV. ‘간단한 생활용품 만들기’단원 교실수업 상황
V. 결론 및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 예비교사의 발명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
- 공학설계기반 미국 STEM 융합교육 사례의 고찰과 시사점
-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과몰입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 뇌 기반 K-6학년 창의적 공학기술문화 교육을 위한 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Ⅱ) 1) - 초등학교 3, 5학년을 대상으로 -
- 초등교사 및 예비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실과 생명과학 내용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 대전 지역 5, 6학년 초등학생의 전통음식에 대한 인식과 이용실태
- 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관한 초등학교 교과서 내용분석
- 건강가정생활 관련 학부모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
- 초등교사의 옷차림에 관한 질적 연구
- 중학생의 성격유형에 따른 기술적 사고성향 분석
- 초등학교 실과 ‘간단한 생활용품 만들기’ 단원 교실수업 상황 분석
- 가정식생활 수첩 ‘가족밥상’을 활용한 식생활교육 모니터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