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자활사업의 현황과 개선점 토론자
이용수 18
- 영문명
- 발행기관
- (사)참누리 빈곤문제연구소
- 저자명
- 고이시
- 간행물 정보
- 『빈곤없는세상 연구보고서』2004년, 1~3쪽, 전체 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03년 일본의 생활보호 수급자수는 월평균 134만명, 한국은 137만명이다. 하지만 인구대비 보호율은 한국이 2배이상 높다.
영문 초록
목차
1. 한국「자활사업」의 특징
2.「신 빈곤 문제」는 정말로 새로운 것인가?
3. 제도 운영상의 문제에 관하여
4.「참여 복지 5개년 계획」에 관하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빈곤가족의 문제점과 정책대안
- 노숙자와 이웃하기
- ‘EITC 도입 필요성과 기대효과’ 토론자료
- 빈곤의 여성화 실태와 대안
- 일본의 생활보호법과 법 개정 운동의 현황
- 한국사회의 빈곤현실과 기초생활보장 수혜 수준
- 장애인은 인류의 구원자
- 2004년 기초생활보장제도의 평가
- 최저생계 보장정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한일 공 공부조 제도 비교
- 생활보호제도 개혁의 과제
- 신용불량 빈곤층의 생존권 보장 실태와 대안
- 용천사고를 남북화해와 경협 확대의 계기로
- 정부의 사회적 아동학대
- 한국의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대한 이해
- 노무현정부의 복지정책 평가
- EITC 도입 필요성과 기대효과
- 각 당의 노인 복지정책과 노인유권자의 대응
- 자활노동자의 노동자성 부인해선 안 된다
-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 한국의 생존권 보장 현실과 개선방안
- 생존권 보장의 현실
- 여성노동자와 빈곤
- 한국의 기초생활보장법 제정운동의 성과와 현행기초보장제도의 한계
- 한국 자활사업의 현황과 개선점 토론자
- 왜 최저임금과 최저생계비의 공동투쟁에 나서야 하는가?
- 내가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라고 수도요금 감면혜택을 주다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케어매니지먼트 연구 제55호 목차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 만성질환 노인의 돌봄 수혜경험 : 요양보호사 돌봄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