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formation Search and Customer Channel Migration from Fashion Smart Kiosk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현주(Kim, Hyeon Ju) 강윤지(Kang, Yun Ji) 이설아(Lee, Seol Ah) 한상아(Han, Sang Ah) 김은영(Kim, Eun Young)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생활과학연구논총 제20권 제2호, 59~6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explore customer channel migration from a smart kiosk in information searching and purchasing fashion product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literatures, and mainly included usage of retail channels, importance of information contents on a fashion smart kiosk, and intentions of channel
migration for purchasing fashion products. A total of 103 responses was obtained from smart phone users who were aged from 19 to 27 years old. The respondents represent more females(n=70) than males(n=33).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K-means cluster analysis, and ANOVA were conducted via SPSS 18.0 program.
Based on the usage of retail channels, consume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lusters:
store shopper, non-store shopper and cross shopper. For information search,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contents(e.g., recommended products and style, special sized products, up-to-date items, special sales) among three groups.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tentions of channel migration
from a smart kiosk for purchasing products among three groups. Specifically, cross shoppers were likely to migrate from smart kiosk to offline stores in purchasing products; store shoppers were likely to migrate to offline stores after searching for style and price on the smart kiosk; and non-store shoppers were likely to migrate to
mobile apps for purchases after searching for special offers on the smart kiosk. This study provides an insight into developing strategic channel integration by utilizing smart kiosk with unique design and promotional contents in the fashion retail environment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용상 지위에 따른 정신건강과 일-생활 시간갈등의 차이
- 도심 노후주거지 벽화마을의 지속가능한 주거지재생 방안
- 싱글족을 위한 소형주거공간의 다기능·가변형 가구에 나타난 유형 및 기능적 특성 분석
- 돈에 대한 태도와 시간압박이 2-30대 소비자의 쇼루밍과 역쇼루밍 행동에 미치는 영향
- 2014년도 주거실태조사에 나타난 점유유형과 주거면적 변화와 영향 요인
- 유아의 신체적 민첩성, 인지능력, 정서조절력 및 사회적 능력감이 학교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기하학적 형태의 율동적 표현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창작
- 국내 이동가능한 주거의 유형별 사례분석을 통한 개선방안 연구
- 발주서 분석을 통한 단체급식소의 이용 실태
- 패션 스마트 키오스크에서의 정보탐색과 고객채널이동
- 대학생의 스마트 학생증 발급과정에 대한 인식
- 대부업 광고에 대한 대학생 소비자의 인식
- 주택의 공간별 창의 기능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온라인 텍스트 데이터를 활용한 집밥의 인식 변화 연구: 코로나19를 중심으로
- 식품업체의 ESG 경영활동과 기업이미지 및 지속 이용의도와의 영향 관계 연구
- 얌빈 가루를 첨가한 연어스프레드의 품질특성: 혼합물 실험법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