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충청남도 산업단지 인근지역 주민의 생체시료 중 중금속 농도평가
이용수 98
- 영문명
- Exposure Assessment of Heavy Metals using Exposure Biomarkers among Residents Living Near a Chungcheongnam-do Province Industrial Complex Area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주요섭(Yosub Joo) 노상철(Sangchul Roh)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42권 제3호, 213~22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level of physical exposure to heavy metals among residents who live around a Chungcheongnam-do Province industrial complex and to provide baseline data on the effects and harms of heavy metals on the human body by comparing their exposure levels to those of people from control regions.
Methods: We measured blood lead and cadmium levels and urine mercury and chromium levels and conducted a survey among 559 residents from the affected area and 347 residents of other areas.
Results: Blood lead and cadmium levels and urine mercury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ase region than among those in the control region (p=0.013, p<0.001, p<0.001, respectively). In the thermoelectric power plant area, blood cadmium and urine mercury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control region (p<0.001, p<0.001, respectively). In the steel mill and petrochemical industry areas, blood cadmium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region (p<0.001). Dividing groups by the reference level of blood cadmium (2 µg/L), the odds ratios between the case and control regions were 2.56 (95% CI=1.83-3.58), 3.11 (95% CI=2.06-4.71) for the thermoelectric power plant area, 1.78 (95% CI=1.19-2.65) for the steel mill area and 4.07 (95% CI=2.40-6.89) for petrochemical industry area.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levels of exposure to heavy metals among residents living near a Chungcheongnam-do Province industrial complex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region. This seems to be attributable to exposure to heavy metals emissions from the industrial complex. Further research and safety measures are required to protect residents’ health.
목차
I. 서 론
II. 연구 방법
III. 결 과
IV. 고 찰
V.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충청남도 내 산업단지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요중 비소 농도
-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호흡기로 흡입된 가습기 살균제 양 추정 - 호흡기 외부(external) 및 내부 노출(internal exposure) 추정 방법과 사례 -
- 가습기 살균제 폐 손상 피해자의 살균제 노출 특성 - 태아와 임산부 노출을 중심으로 -
- PET식품 용기에서 발효 모사 식품으로 전이되는 아세트알데히드와 부틸알데히드 예측 모델
- 충청남도 산업단지 인근지역 주민의 생체시료 중 중금속 농도평가
- 충남지역 지하수에서 분리한 총대장균군 양성시료 중수인성 병원균의 분석
- 우리나라 일부 지역 주민들의 혈중 알루미늄 농도
- 광양, 여수 지역 주민들의 혈중 납 농도와 관련요인
- 프탈레이트류와 그 대체물질의 내분비계 교란독성: 에스트로겐성과 안드로겐성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