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충남지역 지하수에서 분리한 총대장균군 양성시료 중수인성 병원균의 분석
이용수 130
- 영문명
- Analysis of Waterborne Pathogenic Bacteria among Total Coliform Positive Samples in the Groundwater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Korea
- 발행기관
- 한국환경보건학회
- 저자명
- 유정호(Jungho Yu) 왕창근(Changkeun Wang) 신인철(Inchul Shin) 김동욱(Donguk Kim) 박귀성(Kwisung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제42권 제3호, 189~195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환경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To ensure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groundwater, it was confirmed whether waterborne pathogenic bacteria in groundwater samples tested positive for total coliforms in the Chungcheongnam-do Province region.
Methods: Total colony counts, total coliforms and fecal coliforms were tested according to the process mandated by the drinking water quality testing standards of Korea. DNA was extracted from the samples, tested positive for total coliforms, and then subjected to real-time PCR to detect waterborne pathogenic bacteria.
Results: A total of 115 samples were inadequate for drinking water. Thirty-one cases (27%) showed positive for fecal coliforms and nine cases (7.8%) showed total colony counts exceeding drinking water standards. Twentyseven cases (23.5%) showed three items (total colony counts, total coliforms and fecal coliforms). Using the realtime PCR method, waterborne pathogens were detected in 57 cases (49.6%) in 115 samples. Seventy-eight cases of waterborne pathogenic bacteria were detected (including duplications): 27 cases of pathogenic E. coli (EPEC (19), ETEC (5), EHEC (1), EAEC (1) and EIEC (1)); 45 of Bacillus cereus; two of Yersinia spp.; two of
Salmonella spp.; one of Staphylococcus aureus; one of Clostridium perfringens.
Conclusion: The real-time PCR method can offer rapid and accurate detection of waterborne pathogenic bacteria. Therefore, this assay could be an alternative to conventional culture methods and can further ensure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groundwater.
목차
I. 서 론
II. 재료 및 방법
III. 결 과
IV. 고 찰
V.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충청남도 내 산업단지 주변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요중 비소 농도
- 가습기 살균제 피해자 호흡기로 흡입된 가습기 살균제 양 추정 - 호흡기 외부(external) 및 내부 노출(internal exposure) 추정 방법과 사례 -
- 가습기 살균제 폐 손상 피해자의 살균제 노출 특성 - 태아와 임산부 노출을 중심으로 -
- PET식품 용기에서 발효 모사 식품으로 전이되는 아세트알데히드와 부틸알데히드 예측 모델
- 충청남도 산업단지 인근지역 주민의 생체시료 중 중금속 농도평가
- 충남지역 지하수에서 분리한 총대장균군 양성시료 중수인성 병원균의 분석
- 우리나라 일부 지역 주민들의 혈중 알루미늄 농도
- 광양, 여수 지역 주민들의 혈중 납 농도와 관련요인
- 프탈레이트류와 그 대체물질의 내분비계 교란독성: 에스트로겐성과 안드로겐성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