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 인권 교육 개선을 위한 중학교 사회 교과서 분석 연구

이용수  374

영문명
Analysis of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Improvement of Human Rights Education at School
발행기관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은지용(Eun, Jiyong) 설규주(Seol, Kyujoo)
간행물 정보
『교육연구』제67집, 9~3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인권 교육 개선을 위해 중학교 사회 교과서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이론적 고찰을 통해 교과서 분석 준거를 개발하고 이에 근거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사회 교과서 3종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및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권 관련 단원에 대해 살펴보면, 인권의 의미와 성격과 관련하여 천부 인권 및 불가침의 당위적 특성을 더욱 강조할 필요가 있으며, 인권 보장을 위한 법이나 제도, 기구 등의 적용 사례를 학생의 경험과 연계하여 적극적으로 소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다양한 집단 정체성에 대한 존중이 부각되지 못한 부분이 있으므로 이와 관련하여 인권 친화적 가치 및 태도의 중요성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한편, 전반적으로 인권 친화적 사고를 자극하는 학습 활동이 다양하게 제시된 점 자체는 긍정적이나 심층적인 비판적 사고나 토의 활동을 독려하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기타 단원에 대해 살펴보면, 직업 및 역할 등의 측면에서 특정 성에 대한 고정관념 형성의 소지가 있으므로 성평등적 관점에서 역할 비중 및 배치에 대한 신중한 고려가 요구된다. 또한 성, 인종, 지역, 사람 등에 대한 고정관념을 갖지 않도록 용어나 표현을 선택할 때 보다 세심한 접근이 필요하다. 상기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학교 인권 교육 개선을 위한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과정 측면에서 교육과정 개정 시 인권 관련 교육 내용요소를 강화하고 체계적으로 조직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과서 개발 준거 측면에서 교과서 편찬상의 유의점과 검인정 기준을 제시할 때 인권적 관점에서 고려해야 할 유의 사항을 명료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교과서 집필 측면에서 인권 친화적 교과서 집필을 위한 안내 및홍보가 필요하다. 넷째, 교과서 피드백 측면에서 교과서 개발 이후에도 교과서가 인권 친화적 성격을 유지하고 있는지 확인하는 지속적인 모니 터링 작업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improving human rights education and derive implication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the criterion of analyzing the textbooks through theoretical reviews and analyzed three kinds of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according to 2009 revised curriculum. Analysis results and implicat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xploring the human rights related units,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natural human right and innocent characteristic of human rights in relation to the meaning and nature of human rights, and also to actively introduce applied examples of laws,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for human rights protection in conjunction with students’ experiences. In addition, as there is a lack of embossing the respect for diverse group identities,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human rightsfriendly values and attitudes. On the other hand, as presented here that the various kinds of learning activities that stimulate human rights-friendly thoughts are positive in general, but it is necessary to plan ways of encouraging in-depth critical thinking and discussion activities. Second, considering other units, there is a possibility of establishing stereotypes about specificity in terms of occupation and role, so careful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role allocation and placement in terms of gender equality. Also, a more careful approach is needed when choosing terms or expressions to avoid stereotypes about sex, race, region and peopl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analysis,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human rights education at school are as follows. First, from a perspective of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and systematically organize contents of educational contents related to human rights when revising curriculum. Second, from a perspective of textbook development criteria, it is necessary to clarify matters to be considered from the perspectives of human rights when presenting textbooks when presenting textbook editing notes and authorization criteria. Third, from a perspective of textbook writing, it is necessary to provide guidance and publicity for writing human rights friendly textbooks. Fourth, from a perspective of feedback on textbooks,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monitor the textbooks to ensure that they remain human rights-friendly after completing textbook development.

목차

Ⅰ. 서론
Ⅱ. 사회과 교과서 분석을 위한 이론적 배경
Ⅲ. 인권 교육 개선을 위한 중학교 사회 교과서 분석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은지용(Eun, Jiyong),설규주(Seol, Kyujoo). (2016).학교 인권 교육 개선을 위한 중학교 사회 교과서 분석 연구. 교육연구, 67 , 9-36

MLA

은지용(Eun, Jiyong),설규주(Seol, Kyujoo). "학교 인권 교육 개선을 위한 중학교 사회 교과서 분석 연구." 교육연구, 67.(2016): 9-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