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하악구치 임플란트 지지 단일수복에서 근심 캔틸레버가 임플란트 합병증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0
- 영문명
- COMPLICATIONS OF THE IMPLANT-SUPPORTED POSTERIOR MANDIBULAR SINGLE RESTORATIONS WITH MESIAL CANTILEVER
- 발행기관
-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 저자명
- 신혜승(He Sung Shin) 김명래(Myung-Rae Kim) 김선종(Sun-Jong Kim)
- 간행물 정보
-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대한구강악안면회과학회지 제35권 제4호, 248~252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내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lications of the posterior mandibular single crowns and distance from the adjacent teeth to the implant.
Subjects and Methods: Of the patients who presented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 Yonsei University Dental Hospital with missing of the posterior mandibular molar and restored with implant-supported 18 Single crowns between 1996 thru 2007, 115 patients had been followed after crown deliver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complication-followed group and a control without any problems. The distance from the
most distal tooth to the implant were measured. The prosthetic & biologic complications were reviewed by the cantilever distance and analyzed by abutment type, age & gender statistically using SAS version 9.1 (SAS Inc., USA).
Results and Conclu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osterior mandibular single crown with cantilever showed higher incidence of follow-up complications upon logistic analysis (p<0.05).
2) The prosthetic and biologic complications are related with the cantilever distance with 2.1 odds ratio and 3.39 cut-off value of specificity & sensitivity by SPSS 12.0.
3) The complications are neither significant in abutment types nor age & gender.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Xenografted Tumorigenesis in the oral vestibule of nude mice by Snail transfection:
- 골막기원세포의 조골세포 분화과정에서 나타나는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증식
- 하악구치 임플란트 지지 단일수복에서 근심 캔틸레버가 임플란트 합병증에 미치는 영향
- 기능적 부하 후 임플란트 주변의 골 흡수에 대한 방사선학적 연구
- 구강암 환자에서 18F FDG-PET/CT의 경부 림프절 전이 평가 유용성
- 하악 과두에 발생한 골연골종의 보존적 제거 1 예
- 함치성 낭종과 관련된 미맹출 영구치의 감압술을 이용한 정상 맹출유도 :
- 3-D CT를 이용한 악교정수술후의 하악 과두 위치와 하악폭경 및 하악각의 평가
- 우측 후하악부에 발생한 낭포성 활액종의 치험례
- 좁은 결손부위에 One-piece narrow diameter implant를 이용한 즉시보철:
-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한국어 모음 발음에 관한 음향학적 분석
- 하악에 발생한 내골성 신경초종
- 골절단술을 이용한 비교정성형술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내과학분야 BEST
- 결핵성 중이염 1예: 오랜 질병의 재발견
- 음성치료의 개요
- Electrophysiological biomarkers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recent advances and clinical implications
의약학 > 내과학분야 NEW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의 발자취
- 노년 환자의 일차 구개열 수술 후 임플란트를 이용한 오버덴쳐: 증례보고
- Prevalence and Three-Dimensional Craniofacial Characteristics of Microtia in Orthodontic Patients: A Retrospective CBCT Analysi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