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능적 부하 후 임플란트 주변의 골 흡수에 대한 방사선학적 연구
이용수 2
- 영문명
- STUDY ON RADIOGRAPHIC EVALUATION OF MARGINAL BONE LOSS AROUND OSSEOINTEGRATED IMPLANT AFTER FUNCTIONAL LOADING
- 발행기관
-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
- 저자명
- 최수진(Su-Jin Choi) 지영덕(Young-Deok Chee) 고세욱(Se-Wook Koh)
- 간행물 정보
- 『대한구강악안면외과학회지』대한구강악안면회과학회지 제35권 제4호, 240~247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내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8.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marginal bone loss to the bone crest functionally loaded for up to eighteen months and also with regard to other variables of interest.
Material and Methods: 135 endosseous implants(GS II, Osstem, South Korea) were placed in 35 patients. The design of GS II implant is straight with the microthread. Radiographic examinations were conducted at baseline (implant loading) and 3, 6, 9, 12 and 18 months after loading. Marginal bone level measurement was made from the reference point to the lowest observed point of contact of the marginal bone with the fixture. The reference
point of the fixture was the border between the blasted surface and machined surface of the fixture.
Results: Implants were on function for a mean 12.7 months(range, 3?18 months). For the 56 maxillary and 79 mandibular implants, mean marginal bone loss was 0.68 mm and 0.70 mm. Implants placed maxillary posterior area displayed more crestal bone loss than the other position. The difference between mesial and distal bone level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with respective means of 0.51 mm and 0.62 mm. Also, The difference
between bone graft group and no-bone graft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with respective means of 0.38 mm and 0.66 mm.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f sex, type of surgery(one or two stage surgery), the implant length was observed(p>0.05).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s the amount of marginal bone loss around implant has maintained a relative stable during follow-up period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Xenografted Tumorigenesis in the oral vestibule of nude mice by Snail transfection:
- 골막기원세포의 조골세포 분화과정에서 나타나는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증식
- 하악구치 임플란트 지지 단일수복에서 근심 캔틸레버가 임플란트 합병증에 미치는 영향
- 기능적 부하 후 임플란트 주변의 골 흡수에 대한 방사선학적 연구
- 구강암 환자에서 18F FDG-PET/CT의 경부 림프절 전이 평가 유용성
- 하악 과두에 발생한 골연골종의 보존적 제거 1 예
- 함치성 낭종과 관련된 미맹출 영구치의 감압술을 이용한 정상 맹출유도 :
- 3-D CT를 이용한 악교정수술후의 하악 과두 위치와 하악폭경 및 하악각의 평가
- 우측 후하악부에 발생한 낭포성 활액종의 치험례
- 좁은 결손부위에 One-piece narrow diameter implant를 이용한 즉시보철:
-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한국어 모음 발음에 관한 음향학적 분석
- 하악에 발생한 내골성 신경초종
- 골절단술을 이용한 비교정성형술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내과학분야 BEST
- 결핵성 중이염 1예: 오랜 질병의 재발견
- 음성치료의 개요
- Electrophysiological biomarkers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recent advances and clinical implications
의약학 > 내과학분야 NEW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의 발자취
- 노년 환자의 일차 구개열 수술 후 임플란트를 이용한 오버덴쳐: 증례보고
- Prevalence and Three-Dimensional Craniofacial Characteristics of Microtia in Orthodontic Patients: A Retrospective CBCT Analysi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