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easurement Scale for the Korea Hair Beauty Employees’s Job Stress(KHEJSS)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박윤희(Yun Hee Park) 정연자(Yeoun Ja J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17권 제4호, 273~29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2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 Korean hair beauty employees’ job stress scale (KHEJSS) in consideration of work environment and features and verify the validity of said scale. For this, this study acquired the following results through a series of research procedures: Study I. According to an inductive content analysis using an open-ended questionnaire, beauty salon workers’ job stress showed up in seven categories: Salary (SA), relationship conflict (RC), emotional labor (EL), occupational disease (OD), black consumer (BC), practice environment (PE) and pressure in sales (PS). Study II. Based on the construct of beauty salon employees’ job stress, preliminary questions for 63 questions in 7 categories were prepared. Study III. The 63 beauty salon employees’ job stress-related questions were analyzed and sorted through kurtosis, skew, correlation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Then, factor structure and the model’s goodness of fit were test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In terms of a model’s goodness of fit for 24 questions under the final seven sub-categori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408.849, p<001, GFI .899, IFI .956, CFI .956, TLI .947 and RMR .044. As a result, the KHEJSS was completed, revealing the best model’s goodness of fit. Study IV. In a correlation analysis performed to secure criterion validity for the KHEJSS,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with job satisfaction while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with turnover intention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t appears that the KHEJSS would make a contribution to the in-depth understanding of beauty salon workers’ job stress and expansion of research areas as a measurement instrument in studying beauty salon employees’ job stres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및 결과
Ⅲ. 결론 및 고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Kano 모형과 PCSI 지수를 활용한 미용실 대기시간 서비스품질 연구
- 피부미용소재로서 보리순 추출물의 생리활성 특성 연구
- 패션위그 착용실태 및 인식도에 관한 연구
- SF영화에 표현된 포스트휴머니즘의 헤어디자인의 조형성
- Lypossage를 통한 20~30대여성의 하체체형관리에 대한 연구
- 중국인 유학생들의 기초화장품 사용 및 피부 관리 실태조사
- 헤어숍(Hair Shop)의 규모·직급·매출·업체형태에 따른 미용매니저(중간관리자)의 수요와 필요성에 관한 연구
- NCS기반 현장실습 매뉴얼 개발 연구
- 니키 드 생 팔 작품의 환경 친화적인 형태, 색채분석에 의한 바디아트 이미지 연구
- 피카소의 회화작품과 여성들의 모발염색 인식 및 태도의 색채심리 상관성 분석
- 한국형 헤어 미용 종사자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갱년기 여성의 갱년기 증상과 우울이 피부 및 체형관리행동에 미치는 영향
- 산성 염료의 모발 염색성 연구(1)
- 여중생의 외모만족도가 자아존중감,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중년여성의 헤어컬러에 관한 연구
- 디지털 우마드(Womad) 환경의 뷰티제품 유형별 특성 연구
- 헤어미용종사자들의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년 전업주부와 직장여성의 헤어스타일 인식
- 미용전공대학생의 미용봉사활동 참여 동기에 따른 자아존중감이 전공만족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피부미용샵 종사자의 멘토링 기능이 멘토신뢰와 긍정적 정서표현,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