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바타>의 생산/소비과정에서 구성된 담론 분석 : 테크놀로지, 산업, 수용자 관련 담론을 중심으로
이용수 69
- 영문명
- The Study on the Discourses on the Process of Producing and Consuming of Avatar : Focusing on the discourses of technology, industry and audience
- 발행기관
-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 저자명
- 유기상(Ryu, Kisang) 민병현(Min, Bounghyan)
- 간행물 정보
-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제7권 1호,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5.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아바타로 촉발된 3D 관련 담론은 시각 이미지 재현과 수용의 역사 속에서 항시적으로 수용자의 프레젠스에 대한 욕망이 존재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이것을 지금에 와서 가장 극대화된 욕망인 것처럼 포장한다. 한국의 사례에서 알수 있듯이, 이것은 테크놀로지를 매개로 결국 철저히 생산자 중심으로 구성된 산업 관련 담론으로 귀결된다. 이 과정에서 수용자로부터 능동적으로 형성되는 담론 구성 현상들은 억압되는 양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해, 본연구는 <아바타> 현상을 만들어낸 성공요인을 중심으로 생산자 중심의 담론으로서 테크놀로지와 산업의 입장에서 펼쳐진 언술들을 살펴보고 수용자 중심의 담론 으로는 영화 보기와 읽기, 쓰기가 이루어지는 문화적 과정을 연구하였다.
영문 초록
Although always there has been a desire to have presence in the history of representing and receiving of visual images, the discourses on 3D these days which have been sparked with insist on the desire for reality is the very contemporarily thing. These kinds of discourses on 3D which have been mediated with technology should be led to emphasize the aspects of producers who control the electronic industry and entertainment business lather than that of consumers with seeing the case of Korean market. It has been inevitable to repress various aspects of active reactions of audience as consumers in the process to constitute technology-centric discourses supported with power and capital. From this question, this study has researched on various appearances of the discourses caused by not only technology and industry related discourses to assert is now one great step closer to reality as representing producers needs, but cultural process including seeing, reading, writing as showing consumers diverse interests.
목차
1. 들어가며
2. 생산자 주도의 담론/들
3. 수용자 주도의 담론/들
4. 나가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