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전통 동성마을의 담의 특성에 관한 사례 연구
이용수 77
-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m in the Korean Traditional Same Family Origin Village
- 발행기관
-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 저자명
- 류혜지(Hye Ji Ryu) 윤영선(Young Sun Yoon)
- 간행물 정보
-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제2권 제1호, 1~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4.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동성마을 중 하나인 강원도 고성군 왕곡마을을 대상으로 도면을 분석하고 현장을 방문하여 관찰조사를 함으로써 전통 담의 특성과 디자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앞 담은 없고 앞마당이 완전 개방되어 이웃들과의 친교의 장과 농사 업무를 하는 반공적인 영역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반대로 뒷담은 완전히 폐쇄되어 가족만의 완벽한 사적인 영역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이는 친족들이 모여 사는 동성마을의 독특한 담의 표현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둘째, 뒷 담의 재료는 기와를 얹은 돌흙담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앞 담은 생울타리와 밭, 나무와 돌, 꽃 등 낮은 높이의 자연적인 요소를 이용하여 영역을 구분짓고 있었다. 셋째, 담의 디자인은 대부분 돌과 흙으로 쌓여졌으며, 인위적이지 않고 자연스러운 멋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러한 동성마을에서 보여 지는 울타리, 경계의 역할을 하는 담의 구성은 현시대의 도시주택계획에서도 응용해 볼 수 있는 좋은 요소라고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am in the Korean traditional same family origin village, Wanggok in Kosung-Gun. For case study, researcher visited Wanggok village and analysed books and drawing books of Wanggok village. The result of the case study is as follows: The First, most of Korean traditional houses have front-dam, side-dam and back-dam. But there are not front-dam in Wanggok village. That is a very special characteristic in Korean traditional same family origin village. The Second, back-dam is closed and only family can use back space in their house. The Third,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dam are very natural and lots of the materials of dam are stones and soils in Wanggok village.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왕곡마을의 특성
4. 왕곡마을 담의 특성
5.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업마케팅의 변화와 예술경영 활동에 관한 고찰
- 수도권 백화점 이용행태와 에스컬레이터 배치 선호경향에 대한 연구
- 장이모우의 영화 영웅 에서 나타나는 색채의 의미에 관한 분석연구
- 전자종이의 동향 및 평가시스템
- 4세대 무선망을 위한 이 기종 무선 엑세스 망의 분산호 수락제어
- UCC 대중문화의 성공적 요인에 관한 연구:
- 한국 전통 동성마을의 담의 특성에 관한 사례 연구
- 환경디자인에 있어서 상징의미와 해석방법에 관한 연구
-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박물관의 계획에 관한 연구
- CSD 코드를 이용한 FIR 디지털 필터의 설계
- 독립, 실험 장편영화 제작방식 사례 보고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