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Determinant Factor for the Acceptance of Digital Transition of Cable TV
- 발행기관
-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 저자명
- 양진영(Yang, Jin Young) 윤석년(Yoon, Shuk Nyun)
- 간행물 정보
-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제9권 1호, 1~40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0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디지털 케이블TV 전환과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론적 논의로는 확장된 기술수용모델(TAM2)을 활용하여 이용자 요인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희성이 투입되었고, 조절 변수는 강제성을 제시하였다. 특히 조절변수로 강제성을 제시하여 모델의 확장을 도모하였다. 방법론은 지방자치단체 중 지상파TV의 디지털 전환이 완료되었거나 예정인 3개권역의 아날로그 케이블TV 이용자 5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외부변인 중 ‘자기효능감’과 ‘기술적 요인’, ‘선택의 다양성’, ‘비용’ 등이 이용자들의 이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전체 혹은 부분적으로 긍정과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이 검증되었다. 그러나 지각된 용이성이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유희성에 영향력을 미친다는 선행 연구결과와는 달리 부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연구를 확장하여 검증된 지각된 유희성은 지각된 유용성과 함께 지각된 용이성에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났다. 특히 케이블TV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가운데 지각된 유희성의 ‘오락성’이 지각된 유용성의 ‘정보성’과 ‘다양성’, 지각된 용이성의 ‘효율성’과 ‘편리성’들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영향관계를 보였고, 조절변수로 제시된 ‘강제성’은 효과가 미약했으며, 오히려 ‘이용경험’이 조절 효과를 나타냈다. 본 논문은 아날로그 케이블TV 이용자의 디지털 케이블TV 전환수용에 관한 수용결정요인을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활용하여 연구를 확장했으며,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has objectively analyzed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acceptance of the transition into digital cable television among analogue cable TV users. Perceived playfulness has been applied in addition to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availability in the user’s cognition by us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2)
as expanded through theoretical discussions. Compulsion has also been proposed as a moderating variable, which has particularly promoted the model s expans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550 analogue cable TV users in three areas that have completed or is scheduled to convert analogue terristrial TV into digital terristrial TV among locally
governed groups nationwide. The results of the survey verified either partially or entirely positive and negative effects of the external variables ‘self-efficacy’, ‘technical elements’, ‘diversity of selection’, and ‘cost’ on the cognitive aspects of use. Partially insignificant results were also presented,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concluded on the
effect of perceived availability on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playfulness.
Furthermore, usefulness, playfulness, and availability perceived by expanding the study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 effect. Among the elements that affect the intention of using cable television, ‘entertainment’ displayed to have relatively higher effect than any other element. Only ‘experience of use’ among ‘experience of use’ and ‘compulsion’, which are the proposed moderating variables, showed a moderating effect. This thesis discussed the factors that determine analogue cable television users acceptance of the transition to digital cable television. The study s significance lies on its proposal of a new technology accommodation model.
목차
1. 문제의 제기
2. 이론적 배경
3. 연구문제
4. 연구방법
5. 분석 결과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