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on Smart Phone Game Flow: Focused on use motivation and characteristics of game
- 발행기관
-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 저자명
- 윤승욱(Yun, Sung-Uk)
- 간행물 정보
- 『미디어와 공연예술 연구』제9권 1호, 1~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기존의 게임에 대한 전반적인 부정적 인식에서 벗어나 긍정적인 측면에서 스마트폰 게임을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심리적인 측면에서 스마트폰 게임 이용동기와 게임특성이 게임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스마트폰 게임 이용동기는 현실도피, 기분전환, 즐거움, 몰입, 성취 등으로 나타났고, 이 중 현실도피를 제외한
기분전환, 즐거움, 몰입, 성취가 스마트폰 게임몰입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마트폰 게임 이용자들이 기분전환, 즐거움, 몰입, 성취동기를 추구할수록 게임몰입도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둘째, 스마트폰 게임특성 중 게임구성, 조작용이성을 제외하고 게임의 생동감은 게임몰입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스마트폰 이용자들이 게임을 통해 생동감을 높게 지각할수록 게임몰입이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된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몰입 자체가 건전한 심리작용이고, 스트레스를 해소하거나 여가시간을 즐겁게 보내는데 일정 부분 기여함을 전제로 한다면, 스마트폰 게임 이용이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여가시간을 보다 즐겁고 재미있게 보내는데 있어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일정부분 여가문화 차원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on smart phone game flow focused on use motivation and characteristics of gam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use motivation of smart phone game were classed as 5 factors: escapism, refection, enjoyment, flow, achievement. Refection, enjoyment, flow, and achievement among use motivation of smart phone game influenced positively on game flow. Second, game characteristics were classed as 3 factors: composition of game content, ease of control, vivid. Vivid among game characteristics of smart phone influenced positively on game flow.
These results suggest that smart phone game is useful as a leisure culture activity. In other words, to get rid of stress and get enjoyment from smart phone game has to do with a healthy leisure activity. A healthy use of smart phone game means as a healthy leisure activity.
목차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2. 문헌검토
3.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사회과학 > 신문방송학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