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헌법상 건강권의 내용과 식품안전의 보장
이용수 661
- 영문명
- The Contents of Right to Health in Constitution and Guarantee of Food Safety
- 발행기관
- 한국헌법학회
- 저자명
- 김성률(KIM Sung ryul)
- 간행물 정보
- 『헌법학연구』憲法學硏究 第22卷 第3號, 147~17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오늘날 사람들은 보다 건강한 삶을 위해 건강관리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특히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왜냐하면 식품을 통한 영양분의 섭취는 인간이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생명유지활동이기 때문일 것이다.
우리 헌법은 건강권을 명시적으로 규정하고 있지 않으나 인간의 존엄과 행복추구, 인간다운 생활을 할 권리, 보건권 등을 통하여 이를 보장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국민의 건강권은 그 의미와 근거, 국가의 보호정도에 대해서 구체적인 해석의 기준이 미흡한 것이 사실이다. 특히 오늘날 식품가공기술의 발전과 유통·판매과정의 세분화, 식품첨가물의 사용증가, 외식 및 급식의 증가, 식품류의 수입증가 등의 원인들로 인해 식품안전을 보장하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식품은 인간이 생존하기 위해 필수불가결한 것이고, 인간의 생명과 신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므로 식품이 생산되어 소비되기까지 식품안전을 보장하는 것은 국가의 중요한 책무이다. 즉, 식품의 안전은 국민의 생명과 신체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필수적인 것으로 국가는 국민에게 안전한 식품을 공급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할 의무가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관리는 국가의 중요한 책무가 아닐 수 없으며, 국민의 건강권은 중요한 기본권이 아닐 수 없다.
영문 초록
These days, people show much interest in health care for better life. Especially, there are increased interest and demands for safe foods, maybe because intake of nutrition through foods is a very important activity for people to maintain a healthy life.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does not explicitly stipulate a right to health, but, guarantees it through the rights to human dignity, pursuit of happiness, living worthy of human dignity, and public health. However, in fact, the Constitution lacks specific standards of interpretation on the meaning, grounds, and degree of protection by the government of the right to health. In particular, it has become very hard to guarantee food safety because of development of food processing technologies, division of distribution and sales processes, increased use of food additives, and increase in eating out, food services, and imported foods. However, foods are inevitable for survival of humans and have a great impact on the life and body of humans. Thus, it is an important duty of the government to guarantee food safety in the processes from production to consumption of foods. That is, since food safety is an essential element for keeping the safety of life and body of the people, the government has a duty to do its best to supply safe foods to its people. In this connection, control of safe foods is a crucial obligation of the government, and the right to health of the people is one of the critical basic human rights.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헌법상 건강권의 연혁과 개념
Ⅲ. 헌법상 건강권의 구체적 내용
Ⅳ. 헌법상 건강권과 식품안전의 보장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