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상의학과 응급실내의 일반촬영장비와 전산화단층촬영장비 표면에서의 세균 오염에 관한 분석
이용수 101
- 영문명
- Analysis of Bacterial Contamination on Surface of General Radiography Equipment and CT Equipment in Emergency Room of Radiology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홍동희(Dong Hee Hong) 김형균(Hyeong Gyun Kim)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방사선기술과학 제39권 제3호, 421~427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경상북도 소재 100병상 이상의 3개 종합병원 응급실에 설치된 일반촬영장비와 CT장비에 대한 세균 오염도 검사를 실시하여 감염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관리방안을 제안하고자하였다.
2015년 12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이루어졌으며 경상북도 소재 응급실내의 일반촬영장비와 CT장비를 대상으로 하였다. 일반촬영장비는 업무종사자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control box 위, 노출 버튼 위, 환자의 피부 접촉 부위인 테이블 위 전체와 stand bucky의 grid 위 및 턱 올려놓은 곳 등 총 4곳을 수집하였다. CT장비는 촬영실 업무종사자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control box위와 X-선 노출 버튼, 환자의 피부 접촉 부위인 환자 테이블 위 전체, gantry inner 등 총 3곳을 수집하였다.
영상의학과 응급실내 일반촬영장비에서 검출된 표면 오염 균주는 Providencia stuartii(25%), Stenotrophomonas maltophilia(18%), Enterobacter cloacae(8%), Pseudomonas species(8%), Staphylococcus epidermidis(8%), Gram negative bacilli(8%), incubator에서 48시간 배양 후 자라지 않은 세균은 25%를 차지하였다. 또한 영상의학과 응급실 내 CT장비의 검출된 표면 오염 균주는 Stenotrophomonas maltophilia(11%), Enteococcus faecalis(11%), Escherichia coli(11%), incubator에서 48시간 배양 후 자라지 않은 세균은 67%로 대부분이었다.
영상의학과 일반촬영장치의 Stand bucky-grid와 Stand bucky 상연에서 대부분의 세균이 발견되었고, CT장비의 검체 수집 부분 중 Patient table에 집중되어 검출되었다. 이는 여러 질환을 갖고 있는 환자에 의해 오염된 것을 의미하며 균주 모두 면역력이 저하된 환자에게는 치명적인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므로 검사 전후 70% 알코올 소독을 통해 감염예방을 하여야 한다.
영문 초록
We aim to offer basic materials about infection management through conducting bacterial contamination test about general radiography equipment and CT equipment installed in ER of three general hospitals with 100 sickbeds or more located in Gyeongsangbuk-do Province, and suggest management plan.
It had been conducted from 1st December 2015 to 31st December, and objects were general radiography equipment and CT equipment of emergency room located in Gyeongsangbuk-do Province. For general radiography equipment, sources were collected from 4 places such as upper side of control box which employees use most, upper side of exposure button, whole upper side of table which is touching part of patient’s skin, upper side of stand bucky’s grid, and where patients put their jaws on. For CT equipment, sources were collected from 3 places such as upper side of control box which radiography room employees use most, X-ray exposure button, whole upper side of table which is touching part of patient’s skin, and gantry inner.
Surface contamination strain found at general radiography equipment in emergency room of radiology are Providencia stuartii(25%), Stenotrophomonas maltophilia(18%), Enterobacter cloacae(8%), Pseudomonas species(8%), Staphylococcus epidermidis(8%), Gram negative bacilli(8%), and ungrown bacteria at incubator after 48 hours of incubation (67%) which is the biggest.
Most bacteria were found at upper side of stand bucky-grid and stand bucky of radiology’s general radiography equipment, and most sources of CT equipment were focused at patient table, which means it is contaminated by patients who have various diseases, and patients who have strains with decreased immunity may get severe diseases. Thus infection prevention should be made through 70% alcohol disinfection at both before test and after test.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상의학과 응급실내의 일반촬영장비와 전산화단층촬영장비 표면에서의 세균 오염에 관한 분석
- 생체 내 상에서 Candida albicans로 유도한 염증인자에 미치는 스쿠알렌의 효과
- 부산·경남 지역 성인의 담낭용종 위험인자 및 초음파 영상의 형태학적 분석
- Usefulness Evaluation of Low-dose CT for Emphysema : Compared with High-resolution CT
- 두경부 질환의 인터벤션 시술 시 시술자의 피폭선량평가를 위한 공간선량측정에 관한 연구
- 유방촬영 시 방사선관계종사자의 위치에 따른 공간선량평가
- 유착태반환자의 예방적 내장골동맥 풍선카테터 설치술 시행 시 태아선량 평가
- 비전리 방사선 (근적외선) 기반 의료영상 활용 가능성 평가 : 당뇨발
- 복부팬텀을 이용한 SID 변화와 부가필터 유무에 따른 피폭선량에 관한 연구
- 폐암의 정위적 체부 방사선치료 시 체적 설정과 호흡주기에 따른 선량평가
- 유방영상에서 엣지를 이용한 물리적 영상 평가
- 아크릴로나이트릴·뷰타다이엔·스타이렌 수지와 용융적층조형 방식의 3차원 프린팅 기술로 제작된 전산화단층영상장치 팬톰에서 영상 균일성 및 X선 투과성 평가
- 몬테카를로 모의 모사를 이용한 방사성옥소 2인 치료병실의 안전성 평가
- 뇌 수막종 및 낭종에서 자기공명영상 펄스 시퀀스 변화에 따른 신호대잡음비의 통계적 접근
- 백하수오 에탄올추출물이 방사선조사에 따른 흰쥐의 혈구 및 장기에 미치는 영향
- 일부 대학생의 골밀도와 생활습관간의 관련성
- 도시와 공단 지역의 대사증후군과 지방간의 유병률 및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 F-18 FDG 자동분주기의 분주 최적화에 관한 연구
- 동적 양전자방출단층 영상 분석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DIA Tool
- 피폭선량 산출을 통한 피부입사선량 계산
- 국산 프로토타입 면적선량계 SFT-1의 성능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방사선치료 임상실습 환경에 따른 방사선(학)과 학생의 학습 효과 분석
- 딥러닝을 활용한 한국형 유방초음파 영상 정상-종괴 구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