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Usefulness Evaluation of Low-dose CT for Emphysema : Compared with High-resolution CT
이용수 36
- 영문명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이원정(Won Jeong Lee)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방사선기술과학 제39권 제3호, 329~33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폐기종에 대해 고해상도 CT와 비교한 저선량 CT 의 유용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고해상도 CT와 저선량 CT 노출조건에서 선량과 영상 잡음을 3회 반복 측정하였다. 비슷한 노출조건에서 획득한 146명의 고해상도 CT와 저선량 CT 영상에 대해 2명의 흉부영상의학과전문의 합의 판독결과에서 폐기종 소견 만을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SPSS ver. 19.0 프로그램 사용하여 고해상도 CT와 저선량 CT 간에 폐기종에 대한 진단 차이는 McNemar’s tests, 일치도는 unweighted kappa tests, 선량과 잡음 차이는 Mann-Whitney U-test 로 분석하였다.
선량은 고해상도 CT가 저선량 CT 보다 높았지만(1.95 mGy vs. 0.35 mGy, p=0.008), 잡음은 낮았다(40.1 HU vs. 99.6 HU, p=0.021). 폐기종 진단에 대해서는 두 영상 간에 높은 일치도를 보였다(k-value=0.88). 폐기종 점수는 두 영상 간에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r=0.599, p < 0.001).
선량과 잡음을 고려했을 때, 저선량 CT는 폐기종 진단에 표준 진단 방법 인 고해상도 CT를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low-dose CT (LDCT) for emphysema compared with high-resolution CT (HRCT).
Measurements of radiation dose and noise were repeated 3 times in same exposure condition which was similar with obtaining HRCT and LDCT images. We analysed reading results of 146 subjects. Six images per participants selected for emphysema grading. Emphysema was graded for all 6 zone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lungs by the consensus reading of two chest radiologists using a 4-point scale. Between the HRCT and LDCT images, diagnostic differences and agreements for emphysema were analyzed by McNemar’s and unweighted kappa tests, and radiation doses and noise by a Mann-Whitney U-test, using the SPSS 19.0 program.
Radiation dose from HRC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LDCT, but the noise was significantly lower in HRCT than in LDCT. Diagnostic agreement for emphysema between HRCT and LDCT images was excellent (k-value=0.88). Emphysema grad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HRCT and LDCT images for all six lung zones. Emphysema grading scores from LDCT imag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increased scores on HRCT images (r=0.599, p < 0.001).
Considering the tradeoff between radiation dose and image noise, LDCT could be used as the gold standard method instead of HRCT for emphysema detection and grading.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MATERIALS AND METHODS
Ⅲ. RESULTS
Ⅳ. DISCUSSION
REFEREN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상의학과 응급실내의 일반촬영장비와 전산화단층촬영장비 표면에서의 세균 오염에 관한 분석
- 생체 내 상에서 Candida albicans로 유도한 염증인자에 미치는 스쿠알렌의 효과
- 부산·경남 지역 성인의 담낭용종 위험인자 및 초음파 영상의 형태학적 분석
- Usefulness Evaluation of Low-dose CT for Emphysema : Compared with High-resolution CT
- 두경부 질환의 인터벤션 시술 시 시술자의 피폭선량평가를 위한 공간선량측정에 관한 연구
- 유방촬영 시 방사선관계종사자의 위치에 따른 공간선량평가
- 유착태반환자의 예방적 내장골동맥 풍선카테터 설치술 시행 시 태아선량 평가
- 비전리 방사선 (근적외선) 기반 의료영상 활용 가능성 평가 : 당뇨발
- 복부팬텀을 이용한 SID 변화와 부가필터 유무에 따른 피폭선량에 관한 연구
- 폐암의 정위적 체부 방사선치료 시 체적 설정과 호흡주기에 따른 선량평가
- 유방영상에서 엣지를 이용한 물리적 영상 평가
- 아크릴로나이트릴·뷰타다이엔·스타이렌 수지와 용융적층조형 방식의 3차원 프린팅 기술로 제작된 전산화단층영상장치 팬톰에서 영상 균일성 및 X선 투과성 평가
- 몬테카를로 모의 모사를 이용한 방사성옥소 2인 치료병실의 안전성 평가
- 뇌 수막종 및 낭종에서 자기공명영상 펄스 시퀀스 변화에 따른 신호대잡음비의 통계적 접근
- 백하수오 에탄올추출물이 방사선조사에 따른 흰쥐의 혈구 및 장기에 미치는 영향
- 일부 대학생의 골밀도와 생활습관간의 관련성
- 도시와 공단 지역의 대사증후군과 지방간의 유병률 및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 F-18 FDG 자동분주기의 분주 최적화에 관한 연구
- 동적 양전자방출단층 영상 분석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DIA Tool
- 피폭선량 산출을 통한 피부입사선량 계산
- 국산 프로토타입 면적선량계 SFT-1의 성능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방사선치료 임상실습 환경에 따른 방사선(학)과 학생의 학습 효과 분석
- 딥러닝을 활용한 한국형 유방초음파 영상 정상-종괴 구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