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가치비율의 정보효과 연구

이용수  37

영문명
A Study on Information Contents of Value Variables
발행기관
글로벌경영학회
저자명
김종택(Kim, Jong-Taek)
간행물 정보
『글로벌경영학회지』국제경상교육연구 제11권 제1호, 89~11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3.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가치비율(value variables)이 투자정보로서 독립된 정보효과를 제공하는지 검증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 주식시장이 최초 개장한 1980 년부터 2012 년까지의 장기시계열데이터 (long-term serial data)를 이용하여 포트폴리오방법과 차익거래모형을 연구모형으로 사용하여 가치비율의 정보효과를 분석하였다. 수익률을 산출할 수 있는 1981 년부터 2012 년도까지 매 연도 3월말에 B/P, E/P, C/P, S/P등 가치비율을 산출하여 삼등분 포트롤리오로 구분하였고 가치주포트 폴리오수익률에서 성장주포트폴리오의 수익률을 차감함으로써 가치주투자전략의 수익률을 산출 하여 그 유효성을 검증함으로써 가치비율의 정보효과와 가치주투자전략의 우수성까지 함께 규명 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결과, 가치비율들은 매우 낮은 상관성을 가진 상태에서 포트폴리오 및 가치주투 자전략의 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 <가설1>를 지지하였다. 둘째, 고가치비율 그룹에 소기업주식이 밀집해 있는가를 보기 위한 상세 기업규모 히스토그램 분석결과에 의하면, 고가치비율 그룹에 소기업주식이 밀집해 있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나 가치비율 정보는 소기업효과와는 또 다른 독립된 정보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 <가설2>를 지지하였 다. 셋째, 가치비율에 따른 가치주투자전략의 투자성과가 통계적으로 양(+)의 유의성을 띄는 것으로 보아서 한국 주식시장에서는 성장주투자전략보다는 가치주투자전략이 더 유효하고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어 <가설3>을 지지하였다. 넷째, 네 종류 가치비율 중에서 B/P기준의 가치주투자성과가 가장 높게 나타남으로써 B/P가 시장모형(market model)에 추가되어 베타(β)와는 또 다른 주식가격 결정요인으로서 역할을 할 수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다섯째, 샤프지수(sharpe’s measure) 측정결과, 네 종류의 가치비율 중에서 B/P를 기준으로 포트 폴리오를 구성한 후 수립한 가치주투자전략을 향후 9개월간 보유할 때의 샤프지수가 0.1159로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가장 우수한 가치주투자전략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종합하면, 한국주식시장에서 가치비율은 투자정보로서 그 정보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 며, 특히 B/P는 주식가격결정요인의 또다른 핵심요인으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part of behavioral financial research. It examined information contents of value variables(B/P, E/P, C/P, S/P) in Korean stock market. So far, Most of these behavioral financial studies have showed more confidence in value premium than growth premium. there also were these types of studies done for a few years in Korean stock market. But Existing domestic financial literatures have failed to present the effectiveness based on risk and return in holding period. So, This study examined that value variables had independent contents each other and had independent contents against small firm effect and value strategies were more statistically effective than growth strategies. Besides, This study examined what the best influential value variable was and also presented the best value strategy in Korean stock market.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value variables had independent contents each other and also had independent contents against small firm effect. and value strategies were more effective than growth strategies in korean stock market. Besides, Among various types of strategies, It was verified that “Based on B/P & 9-month holding value strategy” was the best value strategy in view of performance magnitude and sharpe’s measure(RVAR : reward-to-variability). Particularly, This study was remarkable in terms of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value variables based on massive long-term serial data(32 year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및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론
Ⅳ. 실증분석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종택(Kim, Jong-Taek). (2014).가치비율의 정보효과 연구. 글로벌경영학회지, 11 (1), 89-110

MLA

김종택(Kim, Jong-Taek). "가치비율의 정보효과 연구." 글로벌경영학회지, 11.1(2014): 89-11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