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고등교육의 구조적 문제점과 개혁방향

이용수  323

영문명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Higher Education and Some Alternatives for Reform
발행기관
글로벌경영학회
저자명
박정원(Jung Won Park)
간행물 정보
『글로벌경영학회지』국제경상교육연구 제6권 제3호, 297~31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9.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의 고등교육은 초기 무분별한 대학설립허가와 이로 인한 부실사학의 난립 및 국공립대학의 저효율 구조를 특징으로 하면서 양적인 성장을 이룩해 왔다. 1990년대 들어서는 5.31교육개혁안에 따라 경쟁을 축으로 하는 신자유주의 교육개혁이 전개되었다. 그러나 이로 인해 여러 가지 구조적 문제점이 노정되고 있다. 첫째, 기형적으로 높은 대학진학률 둘째, 노동시장과 교육시장의 관계 단절 셋째, 국공립대학의 비중이 낮고 사립대학이 공교육의 대부분을 담당 넷째, 학생과 학부모가 교육비의 대부 분을 부담 다섯째, 고등교육에 대한 수요자들의 만족도 저하 등이다. 이러한 구조적 문제를 시정하고자 한국 고등교육 개혁방향으로서 ① 시장주의 고등교육정책의 전환 ② 중심대학-협력대학체계의 구축 ③ 지역대학 육성정책의 실시 ④ 전문대의 커뮤니티대학 전환 ⑤ 등록금후불제의 전면적 실시 ⑥ 진학률 관리정책 등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Although higher education of Korea has grown up greatly in quantity since its beginning, the quality of higher education has many problems. Because the government support for the higher education has been so small, higher education become more and more market dependent on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higher education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participation rate and completion rate of higher education are so higher that the labor market cannot absorb the graduates properly. Second, the linkage of education market and labor market was broken. Third, private colleges are the main supplier of the higher educ ation. Forth, students/parents bears high proportion of higher education cost. Fifth, But the demand side s satisfaction is very low. Moreover, competition policies drive local colleges and 2year colleges into severe crisis. I recommended some policies as the remedy for the higher education of Korea. ① conversion of market oriented higher education policy ② building of hub-spokes model in higher education ③ support for the local colleges ④ rebuilding of two-year colleges into community colleges ⑤ introduction of deferred payment of tuition fees ⑥ rational management of higher education participation rate.

목차

Ⅰ. 고등교육 개혁의 필요성과 방향
Ⅱ. 한국 고등교육의 위상과 구조적 특징
Ⅲ. 한국 고등교육정책의 전개와 성격변화
Ⅳ. 중상주의와 시장주의 정책의 결과
Ⅴ. 대안의 모색
Ⅵ. 결 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정원(Jung Won Park). (2009).한국 고등교육의 구조적 문제점과 개혁방향. 글로벌경영학회지, 6 (3), 297-318

MLA

박정원(Jung Won Park). "한국 고등교육의 구조적 문제점과 개혁방향." 글로벌경영학회지, 6.3(2009): 297-3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