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모호성과 명료성의 광고 표현방법에 따른 광고와 브랜드회상 차이에 대한 연구
이용수 123
- 영문명
- A Study into Differences between Advertisements and Brand Recall according to Expression Methods of Ambiguity and Clear
- 발행기관
- 글로벌경영학회
- 저자명
- 강승은(Kang Seung Eun) 전정수(Cheon Choung Soo)
- 간행물 정보
- 『글로벌경영학회지』국제경상교육연구 제6권 제3호, 183~20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에 급증하고 있는 모호성 광고는 기존에 많이 사용되어온 명료성 광고에 비해 소비자의 주의를 집중시키고 정보처리의 동기를 강화시키기 때문에 효과에도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전제아래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모호성과 명료성의 광고표현 방법에 따른 광고와 브랜드회상 차이 및 두 가지 표현방법의 선호유형에 따른 광고와 브랜드회상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결과 모호성과 명료성의 광고표현 방법에 따라 광고회상과 브랜드회상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고회상 검증에서 모호성 광고의 글 또는 그림을 정확하게 기억하고 답변한 응답이 명료성 광고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브랜드회상 분석에서도 명료성 광고보다 모호성 광고에서 브랜드를 더 정확하게 기억하고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광고 표현방법 선호에서는 명료성 광고를 선호하는 응답자가 더 많았으나 선호유형에 따른 광고회상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브랜드회상에서는 선호비율이 높았던 명료성 광고의 브랜드회상이 더 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모호성, 명료성 광고의 creative수준을 고려하지 않아 일부 한계점이 존재하나, 향후 이러한 부분을 보완하여 상황과 타깃에 적합한 표현방법을 활용한다면 효과적인 광고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recently growing ambiguous advertisements attract consumers attention and strengthen motivation of information processing more than the existing clear advertisements and would produce different effects. Hence, this study aimed to verify differences between advertisement and brand recall according to advertisement from methods of ambiguity and clear, differences in brand recall, and the preference type over the two expression method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t has been learn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advertisement recall and brand recall according to expression methods of ambiguity and clear. Verification of advertisement recall revealed that correct memory of answer to the texts or pictures of ambiguous advertisements was higher than those of clear advertisements. Analysis of brand recall verified that the brand was more correctly remembered with ambiguous, than clear, advertisements. In preference of advertisement expression method, there were more respondents preferring clear advertisement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advertisement recall based on preference types. However, brand recall was more correct with clear advertisements whose preference rate was higher. This study has not considered the level of creativeness in ambiguous and clear advertisements and there may be certain limits. If the limits are observed and expression methods more appropriate to circumstances and targets are applied,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establish more effective advertisement strateg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모형 및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세무회계관련학과 학생의 만족도 및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국제회계기준의 특징과 도입 현황에 관한 고찰
- 외국인지분율이 국내 코스닥기업의 투자결정에 미치는 영향
- 감사위원회의 효과적 운영이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 벤처기업의 양면적 보상전략에 관한 고찰
- 유통환경 변화와 수산물생산자 단체의 마케팅전략
- 모호성과 명료성의 광고 표현방법에 따른 광고와 브랜드회상 차이에 대한 연구
- 중소기업에 있어서 BSC성과지표가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취업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기업지배구조가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투자유가증권과 기업손익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 장소마케팅에서 장소자산이 장소이미지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 고등교육의 구조적 문제점과 개혁방향
- 组织支持感、领导-成员交换关系对组织承诺和离职意图之影响
- 회계법인의 비감사보수가 감사보수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Journal of Asian Business innovation (JABI) Vol.2 No.1 Contents
- Assessing the Influence of Downgrade Momentum on Evaluating Credit Migrating Metrices
- Study on the Management Mechanisms of Artists from the Perspective of Digital Humanitie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