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신석기시대 토착 신앙 문제

이용수  375

영문명
A Study on Korean Ancient Religions in the Neolithic Age
발행기관
한국신석기학회
저자명
김창호(Kim Chang Ho)
간행물 정보
『한국신석기연구』제 12호, 93~104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11.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먼저 영남 남해안 지역의 즐문토기 편년에 대한 초창기, 조기, 전기, 중기, 후기, 만기의 6분설을 소개하였다. 다음으로 이 지역의 제사 유물을 한반도 전체의 신석기 제사 유물과 함께 검토하였으며, 이 시대는 분명히 제사의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제사 유물이나 유적이 적어서 목기 등 섞는 물질로 된 제사 유물의 존재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경상도와 전라도 일부에서만 나오고 있는 암각화는 청동기 시대 전기나 중기의 것이고, 반구대 암각화 그 조각 수법과 그림 자체가 사실적인 점에 근거해 신석기 시대의 것으로 보고, 고래잡이, 들짐승 사냥 등이 신석기인들의 식량 획득을 위한 간절한 바람을 나타낸 토착 신앙과 관련된 것으로 해석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briefly introduced the chronology of Comb-Patterned Neolithic pottery discovered in the Southeastern Korean peninsula: the entire Neolithic time period is divided into six sub periods such as Incipient, Initial, Early, Middle, Late, and Full Fledged. I examined the paraphernalias possibly used in ritual ceremonies discovered in the region in conjunction with other Neolithic paraphernalias discovered in the entire Korean peninsula. There is no question that this time period was definitely a time of ritual ceremony. Yet, few artifacts and/or archaeological sites related to ritual activities have been reported so far. Thus, I suggest that some artifacts may have been manufactured with organic materials that easily decays. Finally I argued that rock art that has been reported in the part of Gyeongsang and Jeolla Province should be dated to the early or middle of the Bronze Age. I consider that Ban-gu-dae rock art was created during the Neolithic Period on the basis of carving technique and realistic expression of the drawing. I also interpret that the rock may have been related to indigenous religion for the Korean Neolithic people who had a strong desie to obtain their food resources by drawing the scene of catching whales and hunting terrestrial animals.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신석기시대 편년의 개요
Ⅲ. 제사유물
Ⅳ. 반구대 암각화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창호(Kim Chang Ho). (2006).한국 신석기시대 토착 신앙 문제. 한국신석기연구, (12), 93-104

MLA

김창호(Kim Chang Ho). "한국 신석기시대 토착 신앙 문제." 한국신석기연구, .12(2006): 93-1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