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Japanese conservative controversialists tapped in the ‘banseiittkei(万世一系)’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 저자명
- 박삼헌(Park Sam-hun)
- 간행물 정보
- 『일본연구』第26輯, 239~272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7.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2006년 9월 6일 히사히토(悠仁) 친왕의 탄생 이후, 황족 수 감소 대책으로 제기된 여성 미야케 창설 문제, 그리고이와 관련하여 등장한 황태자 퇴위론에 대한 일본 보수진영의 의견차이가 어떻게 이뤄지고 있는지 분석한 것이다.
그결과, 첫째, 일본사회에는‘황통이곧남계이고, 이것이 남성에게 계승되는 것이 만세일계’라는 보수진영의 논리가 여전히 유효하게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황태자 퇴위를 둘러싼 보수진영의 의견차이는 전후 일본의 국가체제를‘상징이라는 개념 안에서 유지하려는 입장과, 이를 부정하고‘만세일계’의교조적 해석을 토대로 천황을 일본국의‘원수로 재규정함으로써 전후 국가체제에 변화를 시도하려는 입장으로 분화되기 시작했음을 보여줌을 확인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varied opinions of Japanese conservative camp on issues of the royal succession comprising an amendment of the Imperial Household Law to allow females to inherit the throne and the abdication of crown prince since the birth of Prince Hisahito of Akishino on September 6, 2006. The results of examination show the logic of Japanese conservative camp insisting the ‘royal succession in the sole imperial lineage of males’ remains effective in the Japanese society. Secondly, the opinions of Japanese conservative camp were found on the
two different standpoints. The one advocates the post-war national system united and based on the ’symbolic emperor’ whereas the other one intends for the new national system with the Japanese King redefined as a sovereign based on the dogmatic interpretation of the tradition of ‘banseiittkei(万世一系)’.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여성미야케창설문제의공식화
Ⅲ. 황태자퇴위를둘러싼찬반논쟁
Ⅳ.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의재해문화와안전교육에관한 대학의역할 일본3·11 후쿠시마의교훈
- 뿌리산업육성을위한 일본모노즈쿠리연수성과분석과 발전방안
- 근대기독교신문과계몽사상 : 七一雜報를중심으로
- 나키본(泣本)에서닌조본(人情本)으로 매화꽃필무렵(春色梅暦) 이전, 분세이(文政)기의작품을중심으로
- 혐한만화를어떻게읽을것인가? 세이린도(青林堂)의최근출판물을중심으로
- 일본전자산업의 국제경쟁력하락과그원인
- 総力戦體制下の朝鮮と音樂の役割 組織の一元化と在朝鮮日本人音樂家の活動
- ‘만세일계’의주박에걸린보수논객들
- 현대일본‘싱글맘’의현실과 사회적관계로의포섭
- 마스무라야스조(増村保造) 영화의‘신체’라는문제계 : 영화<문신(刺青)>론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 : 이상 「날개」 연구
- 한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 사회에서의 재해석 -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 텍스트 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논어(論語)』 연구 동향 분석 - 2000-2023년 국내 학술논문을 중심으로
인문학 > 문학분야 NEW
- <몽옥쌍봉연록-곽장양문록> 연작의 곽분양 수용 양상과 그 의미
- 강을생본 <허웅애기본풀이>에 나타난 사별 애도 과정과 의미 - 영화 <원더랜드>(2024) 속 모녀 관계와의 비교를 겸하여
- <세경본풀이>의 통사론적 규칙과 서사 의미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