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Quiet-T2 기법을 이용한 소음감소의 유용성
이용수 41
- 영문명
- Usefulness of Acoustic Noise Reduction in Brain MRI Using Quiet-T2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이세지(Se Jy Lee) 김영근(Young Keun Kim)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방사선기술과학 제39권 제1호, 51~57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뇌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rnance Imaging; MRI)에서 검사 중 발생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한 기법으로 경사파형을 변경한 Quiet T2-weighted Turbo Spin-Echo(이하 Q-T2)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T2-weighted Turbo Spin-Echo(이하 T2) 영상의 소음수준 및 영상의 질을 비교하여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3.0T MR 기기로 뇌 MR 검사를 받은 60명(남자 29명, 여자 31명, 평균 연령 60.1세)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Q-T2와 T2 각각의 영상에서 소음 및 심박동수를 측정하였다. 정량적 분석은 Q-T2와 T2의 SNR, CNR, SIR 값을 측정한 뒤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하였다. 정성적 분석은 Q-T2와 T2의 전체적인 영상의 질에 대하여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평가는 5점 척도로서 우수(excellent) 5점, 양호(good) 4점, 보통(fair) 3점, 불량(poor) 2점, 평가불가(unacceptable) 1점으로 평가하였다. Q-T2와 T2 검사 중 평균소음과 peak소음은 Q-T2가 기존 T2에 비해 각각 15dBA, 10dBA 감소하였다. 또한 각각 의 검사 중 120초 동안 심박동수의 평균값은 Q-T2에서 더 낮은 값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정량적 분석의 결과 CNR과 SIR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SNR은 Q-T2가 더 낮은 평균값을 보임으로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정성적 분석은 59개의 Q-T2와 T2 영상의 질이 동일하게 우수(excellent) 5점으로 평가되었으며, 1개의 영상에서 모션 아티팩트로 인해 양호(good) 4점으로 평가되었다. Q-T2는 기존의 T2와 같이 검사시간 및 진단의 정확도는 동일하지만 소음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인하여 환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Acoustic noise dur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s the main source for patient discomfort. we report our preliminary experience with this technique in neuroimaging with regard to subjective and objective noise levels and image quality. 60 patients(29 males, 31 females, average age of 60.1) underwent routine brain MRI with 3.0 Tesla
(MAGNETOM Tim Trio; Siemens, Germany) system and 12-channel head coil. Q-T2 and T2 sequence were performed. Measurement of sound pressure levels (SPL) and heart rate on Q-T2 and T2 was performed respectively. Quantit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by measuring the SNR, CNR, and SIR values of Q-T2, T2 and a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ndependent sample T-test. Qualitative analysis was evaluated by the eyes for the overall quality image of Q-T2 and T2. A 5-point evaluation scale was used, including excellent(5), good(4), fair(3), poor(2), and unacceptable(1). The average noise and peak noise decreased by 15dBA and 10dBA on T2 and Q-T2 test. Also, the average value of heartbeat rate was lower in Q-T2 for 120 seconds in each test,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quantitative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NR and SIR,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05) as SNR had a lower average value on Q-T2.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analysis, the overall quality image of 59 case T2 and Q-T2 was evaluated as excellent at 5 points, and 1 case was evaluated as good at 4 points due to a motion artifact. Q-T2 is a promising technique for acoustic noise reduction and improved patient comfort.
목차
I.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리선량계를 이용한 요추검사의 장기선량 및 영상의 평가
- Computed Tomographic Angiography (CTA)의 검사 시 조영제 집적 정점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 인자를 분석
-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Quiet-T2 기법을 이용한 소음감소의 유용성
- 심장혈관 조영술과 심장혈관 인터벤션의 환자 선량 평가
- 췌장지방증에서 대사성질환의 위험 요인에 관한 연구
- 저농도 조영제를 사용한 CT검사에서 저관전압 기법에 따른 유용성 평가
- 방사선치료시 전자포털영상장치를 이용한 잡음전력스펙트럼 방법론 측정비교
- 몬테칼로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선형가속기 차폐벽에 대한 중성자 특성 평가
- 방사선 조사 시 혈구 및 장점막에 대한 흑마늘 추출물의 보호효과
- 건강검진센터의 의료방사선 피폭 품질관리 시스템 구축 운영 경험 보고
- 가중 퍼텐셜에 기초한 CT용 CdZnTe 소자 설계
- 400 MeV/u 탄소 이온에 대한 방사선치료 선량 측정용 고체비적검출기의 교정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방사선치료 임상실습 환경에 따른 방사선(학)과 학생의 학습 효과 분석
- 딥러닝을 활용한 한국형 유방초음파 영상 정상-종괴 구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