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심장혈관 조영술과 심장혈관 인터벤션의 환자 선량 평가
이용수 113
- 영문명
- Patient Radiation Dose Values During Interventional Cardiology Examinations in University Hospital, Korea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김정수(Jung Su Kim) 이종혁(Joun Hyuk Lee) 정혜경(Hae Kyoung Jung) 김정민(Jung Min Kim) 조병렬(Byung Ryul Cho)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방사선기술과학 제39권 제1호, 27~33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심장혈관 조영술과 인터벤션은 현대 성인병의 증가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심장혈관 인터벤션은 장시간 동일 부위에 방사선을 조사하는 검사로 방사선으로 인한 피부상해를 일으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의료기관의 심장혈관 인터벤션의 진단참조준위를 조사하여 환자의 피폭선량을 감소시키는 도구로 사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147명의 환자에서 심장혈관 조영술과 인터벤션을 대상으로 누적 투시시간, 누적 투시면적선량, 영상촬영을 위한 면적선량, 누적 면적선량, 공기커마, 동영상 수, 총 영상 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진단참조준위를 설정하였다. 심장혈관 조영술의 진단참조준위와 인터벤션의 진단참조준위에 해당하는 면적선량 값은 각각 44.4 Gy·cm2와 298.6 Gy·cm2로 나타났고 투시시간에 대한 진단참조준위는 각각 191.5 sec와 1935.3sec로 나타났다. 진단참조준위는 반드시 넘으면 안 되는 값은 아니다. 하지만 진단참조준위를 제정하여 의료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선량의 참조 값을 설정하고 이를 검토하는 과정은 환자의 불필요한 피폭선량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use of cardiac angiography (CA) and the interventional procedures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increase in modern adult diseases. Cardiovascular intervention (CI) is an examination method where radiation is applied to the same area for a long period, and thus may cause skin injur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diagnostic reference level (DRL) of the cardiovascular intervention (CI) carried out by medical institutions and use it as a tool to reduce patient exposure dose. In this study, the DRL was set by acquiring information about the cumulative fluoroscopy time, cumulative fluoroscopy dose-area product (DAP), radiography DAP, cumulative DAP, air kerma, number of video clips, and the total number of images from the cardiac angiography and interventional procedures performed on 147 patients. The DAPs corresponding to the DRL of cardiac angiography(CA) and that of the interventional procedures were shown to be 44.4Gy·cm2 and 298.6Gy·cm2, respectively; the corresponding DRLs of fluoroscopy time were shown to be 191.5s and 1935.3s, respectively. A DRL is not a strict upper bound for radiation exposure. However, the process of setting, enacting, and reviewing the DRLs for the dose by medical institutions will contribute to a reduction in the unnecessary exposure dose of patients.
목차
I. INTRODUCTION
Ⅱ. MATERIALS AND METHODS
Ⅲ. RESULTS
Ⅳ. DISCUSSION AND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리선량계를 이용한 요추검사의 장기선량 및 영상의 평가
- Computed Tomographic Angiography (CTA)의 검사 시 조영제 집적 정점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 인자를 분석
-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Quiet-T2 기법을 이용한 소음감소의 유용성
- 심장혈관 조영술과 심장혈관 인터벤션의 환자 선량 평가
- 췌장지방증에서 대사성질환의 위험 요인에 관한 연구
- 저농도 조영제를 사용한 CT검사에서 저관전압 기법에 따른 유용성 평가
- 방사선치료시 전자포털영상장치를 이용한 잡음전력스펙트럼 방법론 측정비교
- 몬테칼로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선형가속기 차폐벽에 대한 중성자 특성 평가
- 방사선 조사 시 혈구 및 장점막에 대한 흑마늘 추출물의 보호효과
- 건강검진센터의 의료방사선 피폭 품질관리 시스템 구축 운영 경험 보고
- 가중 퍼텐셜에 기초한 CT용 CdZnTe 소자 설계
- 400 MeV/u 탄소 이온에 대한 방사선치료 선량 측정용 고체비적검출기의 교정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방사선치료 임상실습 환경에 따른 방사선(학)과 학생의 학습 효과 분석
- 딥러닝을 활용한 한국형 유방초음파 영상 정상-종괴 구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