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Usability Test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Powered Wheelchair of Standing Support Type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이근민(Kun Min Rhee) 김동옥(Dong Ok Kim) 황보치욱(Chi Wook Hwang bo)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20권 제1호, 211~23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통약자에게 안전한 이동 및 기립보조의 전동휠체어를 개발하여 휠체어 장애인 31명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통해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통약자에게 기립 및 착석이 가능하고, 좁은 공간을 이동할 수 있는 근거리 이동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는 기립형 전동휠체어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개발 시제품의 사용성 평가에서 장애인 집단 중 수동휠체어집단대상자 16명과 전동휠체어집단 15명으로 나누어 사용성 평가항목의 60개 유형으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2개 집단의 전체 평균값이 2.72점, 편차는 0.820점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세부적으로 나누어보면 수동휠체어집단대상자의 평균값은 2.85점, 전동휠체어 집단대상자의 평균값은 2.57점으로 나타났다. 이중 수동휠체어 및 전동휠체어의 탑승동작과 하차 동작 시 불편여부에서 승하차 모두 가장 불편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이에 운전자의 안전한 승하차를 위해 양하지 지체장애인의 인체공학적인 설계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인 사용성 평가에서 나타난 불편사항과 개선방안을 토대로 추가적인 연구개발이 이루어져 교통약자들에게 스스로 탑승하여 기립 후 이동하며 간단한 일상생활하는데 있어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problems and to suggest improvement scheme by examining 31 of the disabled who used power wheelchair developed for safe moving and standing suppor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anding power wheelchair that enables the disabled to sit and stand up was developed. It can also be used as means of transportation for moving in narrow space and in a short distance. In the usability test of this prototype, two groups were respectively examined in 60 evaluation items. One group consisted of 16 people with disabilities using manual wheelchairs. And the other one consisted of 15 people with disabilities using automatic wheelchairs. The entire average figure of two groups was shown to be 2.72 and standard deviation was 0.820. Specifically, the average figure of the group in manual wheelchair was 2.85 and the one of the other group in automatic wheelchair was 2.57. And both group replied that the move to stand up and sit on both types of wheelchair was the most inconvenient thing. It shows why ergonomic design for persons with under extremity disabilities to stand up and sit is needed. Second, with further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usability test of the disabled, it will make contribution to increase the qualit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by helping them move and do daily lives on their own.
목차
논문요약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Ⅱ. 장애인의 안전한 이동 및 기립보조를 위한 이동보조기기 개발 동향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인 평생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 정신장애인 가족의 낙인감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신체활동 참여 노인의 인지기능과 자기효능감, 건강행위와의 관계
- 마약중독에서 탈출한 회복자들의 자기 삶 재건에 대한 연구
- 기립보조형 전동휠체어 개발에 따른 장애인 사용성 평가 연구
- 취약계층을 위한 정보통신 접근성 정책에 대한 국가 간 비교 연구
-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조직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개인·사회적 대처자원이 성인발달장애인 자녀의 돌봄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단어빈도 및 길이, 생물성에 따른 이름대기 수행의 차이
- 음악을 사용한 지시적 심상이 입원 정신질환자의 기분상태 및 생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장애포괄적 재난관리체계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가족복지학 제30권 제3호 목차
- 어린이집 교사 대 아동 비율 개선 이후 변화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
- 특성별 지역아동센터 지원사업 현황 및 개선방안 - FGI 조사를 통한 관계자 의견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