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Personal and Social Coping Resources of Mothers on the Stress of Caring Adul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 저자명
- 심석순(Seok Soon Shim) 남정휘(Jeong Hwee Nam)
- 간행물 정보
- 『재활복지』재활복지 제20권 제1호, 43~6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성인발달장애인 자녀를 돌보는 어머니의 대처자원과 돌봄스트레스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실천적 차원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를 위해 만18세 이상에 속한 성인발달장애인 자녀를 돌보고 있는 주돌봄자인 어머니 11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돌봄스트레스는 어머니의 연령이 높은 50세 ~ 54세 집단이 연령이 낮은 49세 이하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고, 가구 소득은 200만원 이하 집단이 550만원 이상집단보다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으며, 또한 취업 중인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돌봄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대처자원 중 사회적 대처자원인 가족지지와 친구지지가 돌봄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지지와 친구지지가 어머니의 돌봄스트레스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에 근거하여 주 돌봄자의 돌봄을 완화를 위해 정부정책 중 장애인활동지원제도와의 연계를 통한 돌봄부담의 경감과 어머니의 연령, 경제수준, 취업여부 등 개별적인 특성에 입각한 돌봄지원계획의 수립을 지원하고 가족 내·외의 다양한 자원들을 활용한 어머니를 직·간접적으로 지원해 줄 수 있는 사회적 지지망 구축 및 동일한 성인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어머니들과의 자조모임 등 관련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reveal the effects affecting mother coping resources on caring stress of mothers caring for adul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esearch data was collected from the service users recruited from two disability organizations and the disabled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South Korea. The survey was limited to mothers caring for adult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ver the age of 18. The samples of the study consisted of 119 mothers. The data were analysed through SPSS statistical program. It was used for the analysis method of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and Step wis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family support and friend support of social coping resources is affecting in caring stress of mothers. Also, the mothers who is working are more caring stress than unemployed mothers and the mothers who is between 50age and 54age are more caring stress than the mothers of under 49 age. Based on these results, I proposed the idea of several programs for social work practice for community welfare centers based on the results.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V. 결론과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인 평생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 정신장애인 가족의 낙인감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신체활동 참여 노인의 인지기능과 자기효능감, 건강행위와의 관계
- 마약중독에서 탈출한 회복자들의 자기 삶 재건에 대한 연구
- 기립보조형 전동휠체어 개발에 따른 장애인 사용성 평가 연구
- 취약계층을 위한 정보통신 접근성 정책에 대한 국가 간 비교 연구
-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조직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의 개인·사회적 대처자원이 성인발달장애인 자녀의 돌봄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비유창성 실어증 환자의 단어빈도 및 길이, 생물성에 따른 이름대기 수행의 차이
- 음악을 사용한 지시적 심상이 입원 정신질환자의 기분상태 및 생리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 장애포괄적 재난관리체계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청년실업의 원인과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가족복지학 제30권 제3호 목차
- 어린이집 교사 대 아동 비율 개선 이후 변화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인식
- 특성별 지역아동센터 지원사업 현황 및 개선방안 - FGI 조사를 통한 관계자 의견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