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Islamic Perspectives on Shakespeare’s King Lear
이용수 9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이슬람학회
- 저자명
- Hesham Khadawardi Mohamed Elaskary
- 간행물 정보
- 『한국이슬람학회논총』제26권 1호, 365~39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2.28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In this paper, we are going to discuss Shakespeare’s King Lear from an Islamic perspective with particular emphasis on the issue of filial ingratitude, and in particular its building motifs. We will show how justice, family, gender, society and class, and, to some extent, language and communication are a conditio sine qua non in the understanding of the dynamics of filial ingratitude as a motif. To put our discussion in perspective, we will also reflect upon attitudes of
Islam towards this dominant theme drawing from the Islamic holy book, Qur’an, and situating it within the perimeters of King Lear. The methodology behind this paper is New Historicism since it allows us to relate the play to its past and to our present time. The paper does not venture into the problems of comparisons, or boundaries or indeed
theoretical paradigms by particular schools or particular thinkers.
Instead, whereas filial ingratitude is a universal theme, the question this paper seeks to answer is, what is the point of view in Islamic perspective on thematic aspects emerging from King Lear? What is the position of sons and daughters in Islamic societies who display ingratitude and cruelty towards their parents? The presupposition is
that Islamic ethos must be put within proper context and by integrating common norms and universally acceptable tenets of mankind with a recognition of what constitutes the world of Islam. We are aware, in this regard, of the fact that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what Islam stipulates on Muslims and what Muslims may actually do. In other words, we speak here about Islamic values not the practises of Muslim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King Lear and Islam
Ⅲ. Relations and Filial Ingratitude Issues in King Lear
Ⅳ. Family
Ⅴ. Justice
Ⅵ. Gender, Society and Class
Ⅶ. Conclusion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01년 이후 미국의 대 이라크 정책
- 아랍 스프링 전후 사우디 청년층의 변화 요구와 향후 전망
- 터키 소버린 신용부도스왑(CDS) 프리미엄 결정요인
- Islamic Perspectives on Shakespeare’s King Lear
- 탄지마트 이후 이슬람-오스만제국의 근대 성문법 체계도입과 샤리아법원 변화 연구
- The Struggle for Supremacy between the Turkic and Chinese Empires for the Trade on the Silk Road
- 마크디시의 살라피즘과 IS의 살라피 지하디즘
- 교착어의 서술어부 구조 고찰
- 닉슨 행정부의 걸프지역 균형정책 폐기와 역내 도서 영유권 갈등
- 국내 폭력적 극단주의 위험 요인 분석
- 북카프카스 민족의 대 러시아 저항의 기원
- 탈소비에트 투르크 공화국들의 문자개혁과 과제
- 중앙아시아 튀르크계 유목민 영웅 서사시 『데데 코르쿠트의 서』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종교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종교학분야 NEW
- 고등학교 교양교육과 종교교육: 학교 종교교육 ‘삶과 종교’ 교과서를 중심으로
- 새『교리교육지침』에 따른 한국 천주교회 유아 신앙교육에 대한 대안적 접근: 『샬롬, 가톨릭 유아 교리 교안집』의 한계와 착한목자 교리교육(CGS) 방법론의 적용 가능성 분석
- 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종교교육 현황과 과제: 불교종립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