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북 성주군의 향토자원에 대한 풍수적 개발과 관광활성화 방안 연구
이용수 194
- 영문명
- Study on the Tourism Activation Plan and Feng-Shui development of Native Land Resource in Gyeongbuk Seongju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김동찬(Kim Dong chan) 임진강(Lim Jin kang)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18집 4권, 267~28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경북 성주군의 한개마을과 그 주변의 풍수(風嗽)자원을 이용하여 관광객의 다양한 욕구 해소는 물론 정체성이 녹아 있는 지역개발이 가능하도록 풍수관광자원의 개발 및 이용 방안을 제시하는데 근본적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를 병행하였다. 연구내용으로 풍수와 관광자원과의 관계를 통해 풍수관광자원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였고 형기(形氣)론적 측면에서 한개마을의 특징과 성주군의 풍수관광자원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성주지역 풍수관광자원의 개발 전략에 관한 기본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그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개마을의 개발에 있어서는 마을 고유의 특성과 정체성을 담은 보전적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한개마을과 주변 풍수자원과의 연계개발이 중요하다. 성주군은 세종대왕자태실을 비롯하여 많은 풍수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성주군의 지역성을 잘 대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성주 지역 캐릭터 및 비보(裨補)풍수 상품 개발이 필요하다. 비보풍수 상품개발로 인해 귀가 후 힐링의 여운이 오래도록 남도록 한다. 본 연구는 아직 우리에게 익숙하지 않는 풍수의 개념을 기본으로 지역자원과 개발과의 융합을 통한 지역의 특수한 개발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현재까지 선행연구가 미미한 풍수자원을 활용한 지역관광개발에 관한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has a fundamental purpose that suggests plans for development and use of Feng-Sui tourism resources so that it is possible not only community development with identity but also visitor's various desire solution by using Hangae Village, Seongju-gun, Gyeongbuk and Feng-Shui resources around the Village. The research method combines literature investigation with field survey. For Feng-Shui tourism resources that are not founded the concept, the research found a new concept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Feng-Shui and tourism resources. And the characteristic of Hangae Village and Feng-Shui tourism resources of Seongju-gun in morphological aspects. Through these analyses, the research suggests the basic measures about development strategy of Feng-Shui and tourism resources in Seongju area,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listed below. First, conservative development with specific characteristics of village and identity is needed for development of Hangae Village. Second, connect & develop between Hangae Village and Feng-Shui resources are important. Third, the character of Seongju area and complementary setup Feng-shui is needed. This research try to support a special development plan of the area through local resources and development's fusion based on Feng-Shui concept that is unfamiliar yet. Moreover, this research is considered that it has the significance as research about regional tourism development, and this uses Feng-Shui resources that there is nonexistent preceding research.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풍수 관광자원의 개념 정립
Ⅲ. 성주군 풍수관광자원의 형기론(形氣論)적 분석
Ⅵ. 성주지역 풍수 관광자원의 관광개발 전략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리콘과 왁스의 재료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 금속의 선 표현
- 중국 섬유디자인의 동향 연구
- 웨딩산업을 활용한 석모도 관광단지 연구
- 관객참여방식에 의한 커뮤니티아트의 표현 특성 연구
- 디자인 개발과정에서 웹 기반 다중 사용자를 위한 지속가능성 툴 연구
- 어보(御寶)를 활용한 스카프 디자인 개발
- 부산의 상징 이미지를 활용한 섬유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 경북 성주군의 향토자원에 대한 풍수적 개발과 관광활성화 방안 연구
- 주변환경에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텍스타일 디자인 사례연구
- VMD 색채 적용에 따른 감성 어휘의 평가연구
- 도자 매체를 활용한 중국 현대조형미술 연구
- 도자기에 관한 열정
- 오색교사(五色交絲) 제작기법의 복원 연구
- 히토 슈타이엘과 '이동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운명
- 친환경 타이벡(Tyvek) 소재를 활용한 레저용품 개발
- 친환경 섬유 소재의 적용 사례 연구
- '예술가 책(Artists'Books)'에서의 '북 오브제(Book Object)'에 관한 연구
- 현대 도예의 표현 매체로서 전사기법의 활용에 관한 연구
- 스튜디오 장신구 운동에 관한 연구
- 두 가지 하이브리드 예술의 미적 표현에 대한 비교연구
- 일루미네이션디자인을 통한 디자인 교육 실행 연구
- 인간 정체성에 관한 사회문화적 패러다임의 체현으로서의 사이보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2025년 춘계학술대회 목차
- 요식업 점주의 컨텍스트 정보 수집 및 예측을 통한 매장관리 서비스 - 배달 플랫폼을 중심으로
- AI를 통한 캐릭터 생성에 필요한 캐릭터의 Uniqueness 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