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도자 매체를 활용한 중국 현대조형미술 연구
이용수 603
- 영문명
- Study on the Contemporary Chinese Art using Ceramic Medium -Centered on Ai Weiwei, Liu Jianhua and Li Xiaofeng-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이영미(Lee Young mi) 서아란(Seo A ran)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18집 4권, 123~13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동시대 중국현대미술은 세계인의 많은 기대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중국현대미술은 서양의 어떤 회화양식보다 그들만이 가진 독특한 정체성과 이데올로기가 결합되면서 차별성을 현저히 보여준다. 1980년대에는 예술가들이 이데올로기에 대한 문제와 갈등을 표현하는데 목적이 있었다면 90년대 중국사회는 경제발전으로 인한 물질주의가 화두가 되며 그로인해 잃어버린 그들의 역사적 기억을 문화정체성 재건이라는 명제로 예술가들의 창작행위가 시작되었다. 장성(만리장성), 도자기 같은 실체에 집중하며 이를 다양한 표현방식으로 나타낸다. 그러한 과정에서 중국의 전통성과 정신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도자 매체에 예술가들이 집중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 논문의 목적도 도자 매체가 중국현대미술에서 어떤 방식으로 사용되는지, 그리고 도자 매체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재조명하는데 있다. 이 글에서는 아이웨이웨이(Ai Weiwei), 리우지엔화(Liu Jianhua), 리샤오펑(Li Xiaofeng) 3명의 작가 작품을 통해 중국현대미술에서 도자매체를 다루는 방식과 특징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전에 중국현대미술에서 1980년대 이후 사회와 예술의 관계, 이를 편의상 미술계의 큰 화두가 된 사건들과 기록으로 나눠 살펴보았고 그로 인해 발생된 여러 미술양식과 종류에 대해 논하였다. 이는 도자 매체의 현대성이 미술계의 다양한 사건과 양식에 얽혀 나타난 현상으로 보며 작가 분석을 하기 위한 단서로 제공되었다.
영문 초록
Contemporary Chinese art has become the subject of expectation and interest to the people of the world. As it fuses its own unique identity and ideology, more than any painting method of the West, contemporary Chinese art strikingly displays its distinction. If the artists of the 1980s aimed at expressing problems and conflict over ideology, then to the Chinese society of the 1990s, the hot issue was the resulting materialism of economic development, which promoted the creative acts of artists into the proposition of restoring a cultural identity from the their lost historical memory. Focusing on an actuality like the Great Wall and Ceramic, they express this in various ways. During this process, artists came to concentrate on the ceramic medium, which may be regarded as the spiritual symbol and traditionality of Chin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was to find out how the ceramic medium was used in contemporary Chinese cart, and again organize the importance of this medium. This paper analyzed how th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handling the ceramic medium was conducted in contemporary Chinese art through the works of three artist, who are Ai Weiwei, Liu Jianhua, and Li Xiaofeng. In advanc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ety and art during the 1980s was examined, and for convenience, in the form of records and events that were hot issues in the art world during the day so as to discuss the various types of art forms which resulted. This is viewed as a phenomenon in which various events and forms of the art world become entwined with the contemporaneity of the ceramic medium, which provides a clue for analyzing the artist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1980년대 이후 중국미술계와 도자매체
Ⅲ. 중국미술이 현대성으로 작용하게 된 요인
Ⅳ. 도자 매체를 활용한 작가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실리콘과 왁스의 재료적 특성을 바탕으로 한 금속의 선 표현
- 중국 섬유디자인의 동향 연구
- 웨딩산업을 활용한 석모도 관광단지 연구
- 관객참여방식에 의한 커뮤니티아트의 표현 특성 연구
- 디자인 개발과정에서 웹 기반 다중 사용자를 위한 지속가능성 툴 연구
- 어보(御寶)를 활용한 스카프 디자인 개발
- 부산의 상징 이미지를 활용한 섬유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 경북 성주군의 향토자원에 대한 풍수적 개발과 관광활성화 방안 연구
- 주변환경에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텍스타일 디자인 사례연구
- VMD 색채 적용에 따른 감성 어휘의 평가연구
- 도자 매체를 활용한 중국 현대조형미술 연구
- 도자기에 관한 열정
- 오색교사(五色交絲) 제작기법의 복원 연구
- 히토 슈타이엘과 '이동하는 디지털 이미지'의 운명
- 친환경 타이벡(Tyvek) 소재를 활용한 레저용품 개발
- 친환경 섬유 소재의 적용 사례 연구
- '예술가 책(Artists'Books)'에서의 '북 오브제(Book Object)'에 관한 연구
- 현대 도예의 표현 매체로서 전사기법의 활용에 관한 연구
- 스튜디오 장신구 운동에 관한 연구
- 두 가지 하이브리드 예술의 미적 표현에 대한 비교연구
- 일루미네이션디자인을 통한 디자인 교육 실행 연구
- 인간 정체성에 관한 사회문화적 패러다임의 체현으로서의 사이보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2025년 춘계학술대회 목차
- 요식업 점주의 컨텍스트 정보 수집 및 예측을 통한 매장관리 서비스 - 배달 플랫폼을 중심으로
- AI를 통한 캐릭터 생성에 필요한 캐릭터의 Uniqueness 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