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균영 소설의 고향 표상
이용수 75
- 영문명
- The Representation of Home in Lee Gyun-young's novels
- 발행기관
- 한국언어문학회
- 저자명
- 박장례(Park, Jang-rye)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학』韓國言語文學 第94輯, 235~25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is concerned on the representation of home in Lee Gyun-young's novels. Home in Lee Gyun-young's novels is represented in the form of the space that a family, a tradition, and a history is overlapped.
Home in Lee's novels is the origin of a family and the space of a return. And home is represented for the ground that the tradition of region and the people's vitality is located. Also home is represented for a living foundation
of people who fought to guard a humanity in rapid changes of modern history.
Home is represented for where people keep as a secret and go pioneered a new life in the city in silence through the period of industrialization. Home in his novels is represented by father's world or the world of paternal tradition. Father's world in Lee's novels has portrayed the broken world.
Father's world is often compromised due to the collapse of the rural in the industrial era, the political ambitions of the house is represented as frustrated as long decline since the once irradiate.
Home in Lee's novels is represented as the living space of the traditional culture and language in Gwangyang. And home is represented as where life is filled with people who have committed to the growth in historical upheaval
in the modern history. As the nomination of Gwangyang symbolizes, Lee Gyun-young's novel world was built as a passion for light. And Lee Gyun-young exposed the light of nature as a source of life, and the light of history that reflects a community.
목차
1. 들어가는 말
2. 가계의 전설
3. 전통과 활력의 장
4. 역사의 진혼곡
5. 맺는 말
부록: 작품 연보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정희의 『아름다운 사람하나』에 나타난 사랑의 의미
- 박 미하일 소설 연구
- 『비화밀교』의 주제의식과 작가의 태도
- 이균영 소설의 고향 표상
- 북한 고전문학 인식의 발전적 수용과 과제
- 국어 어휘에서 나타나는 의미 투명성의 양상
- 모성 탐구
- 훈민정음의 안정적 음소 분할 원리의 과학적 탐색
- 90년대 시에 나타난 후각 이미지 연구
- 불우(不遇)와 고뇌, 떠남의 현재성
- 평가 상황에서 문학 작품 읽기에 대하여
- 이육사 시의 인지시학적 연구
- 현기영의 『순이삼촌』 에 나타나는 기억 양상 연구
- 조선후기 시조(時調)에 반영된 전주(全州)의 문화적 도상(圖上)
- 정한모 시에 나타난 시간의 의미 연구
- ‘보학(譜學)담 이야기꾼’의 한 사례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BEST
- ‘밈(meme)’을 활용한 고전문학과 문화콘텐츠의 상호 협력과 융복합교육
- 연구 동향 분석을 통해 본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 연구의 실태와 제언
- 한국어 쓰기 전략 교육을 위한 생성형 AI 활용 연구
어문학 > 한국어와문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