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lationship of Parent's Verbal Control Types and Young Children's Creativity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 저자명
- 박유은(Park You eun) 이경화(Lee Kyung hwa)
- 간행물 정보
-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제3권 1호, 3~2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4.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모의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창의성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첫째, 창의성 하위요인인 도형영역의 주제에서 인성지향형 어머니일 경우 유아의 창의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부모 모두에게서 자녀가 남아일 경우 명령지향형적 언어통제유형을 많이 사용했고, 여아일 경우에는 인성지향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버지의 학력이 대학교 졸업미만일 경우 명령지향형이 다른 유형보다 높은 반면 학력이 대학졸업이상일 경우 지위지향형 또는 인성지향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연령이 40세 미만 집단이 언어영역, 도형영역, 창의적 성격 모두 높게 나타났다. 그 중 어머니의 연령이 40세 미만인 집단의 유아 독립심, 모험심 요인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창의적 성격이 어머니가 미취업일 경우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부모의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창의성 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도형영역의 창의성 하위요인인 주제에서만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는 부와 모의 언어통제유형과 유아의 창의성간의 관계를 봄으로서 유아교육현장에서 부모 상담 자료로 활용하고,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서 부모 간의 올바른 언어통제유형을 제시할 수 있는 부모교육의 자료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를 가질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parent's verbal control types and young children's creativity.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parent's verbal control types and young children's creativity were measured and differences in young children's creativity (language and drawing domain of creative 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 according to parent's verbal control types (order orientation, position orientation, personality orientation) were identifi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0 five-year-old young childre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areas. The test tool used for this study was 'Parent's verbal control type questionnaire for parents by Lee Kyung-ah (2007). The test was divided the verbal control type into order-oriented control, position-oriented control, personality-oriented control and included 25 items from commonly occurred problem situations and 'Integrated creativity test for children' by Lee Kyung-hwa (2011). As for the study method, first the verbal control typ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families for the test of parent's verbal control types to collect in 1 or 2 weeks and the integrated creativity test was directly performed by home teacher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to children corresponding to sincerely prepared 100 questionnaires among the collected responses.
SPSS WIN 18.0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using Cronbach's α coefficient,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 test, Chi-square test of cross tabulation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for post test.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질적탐구 제11권 제3호 목차
- 디지털/AI 교육 시대 성공적 교육과정 실천을 위한 포스트휴먼 질적연구
- 예술기반 연구 수행을 위한 방법론적 쟁점: 만화소설 형식의 논문 작성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