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방사선치료실 내의 광중성자 에너지 분포 평가
이용수 65
- 영문명
- Evaluation of Photoneutron Energy Distribution in the Radiotherapy Room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박은태(Euntae Park) 고성진(Seongjin Ko) 김정훈(Junghoon Kim) 강세식(Sesik Kang)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방사선기술과학 제37권 제3호, 223~231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의료용의 선형가속장치는 방사선치료에 있어서 그 활용도가 가장 높으며, 최근에는 10MV 이상의 고에너지 광자선을 이용한 치료가 보편화되고 있다. 그러나 광핵반응에 의한 광중성자가 생성됨으로써 방사선 방호 측면에서 많은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MCNPX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치료실 내의 위치별 중성자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광중성자의 생성 개수도 선원 중심점을 기준으로 거리가 멀어질수록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10MV에서 20MV로 에너지가 높아짐에 따른 열중성자와 속중성자의 비율은 큰 차이가 없었지만, 선원 중심점으로부터 거리가 이격될수록 열중성자의 비율이 높아지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Medical linear accelerator is widely used in radiation treatment field, and high energy photons, above 10 MV nominal accelerator voltage, are commonly utilized for the radiation treatment. However, these high energy photons lead the photo-nuclear reaction and the generation of photo-neutrons are accompanied. Thus, these problematic factors are issued in the view of radiation protection. Therefore, linear accelerator and radiation treatment room are simulated from MCNPX program in this study. The measurement points of interest are selected and analyzed, and the resulting effects derived from the properties of photo-neu-tron are evaluated. Therefore, we realized that the number of generating photo-neutrons was decreased by depending on the distance from the source. No matter what the nominal energy is set, the rates thermal neutrons to fast neutrons are marginal. It is founded that the amount of the thermal neutrons were de-creased by depending on the distance from the source.
목차
Ⅰ. 서 론
Ⅱ. 실험재료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Ⅴ.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임상실습에 대한 방사선 전공 학생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 영상의학검사 일반촬영 분야의 촬영기법에 대한 분석
- 수원시 소재의 한 대학 내 환경방사선량 측정 분석
- Facial Exposure Dose Assessment During Intraoral Radiography by Radiological Technologists
- X선 진단장치의 고압정류방식이 대조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
- 자동노출제어를 사용한 X선 흉부촬영에서 AEC 표지자 사용에 따른 환자 피폭선량 감소 효과
- 보급형 3D 프린터로 제작한 쇄골 골절 모델을 이용한 정형외과 수술에 대한 유용성과 활용가능성 평가
- 방사선치료실 내의 광중성자 에너지 분포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임상에서 사용되는 온장고 온도설정 및 한계점에 대한 고찰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방사선치료 임상실습 환경에 따른 방사선(학)과 학생의 학습 효과 분석
- 딥러닝을 활용한 한국형 유방초음파 영상 정상-종괴 구분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