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 of Automatic Exposure Control Marker with Chest Radiography in Radiation Reduction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과학회(구 대한방사선기술학회)
- 저자명
- 정지상(Ji-Sang Jung) 최병욱(Byoung-Wook Choi) 김성호(Sung-Ho Kim) 김영모(Young-Mo Kim) 심지나(Ji-Na Shim) 안호식(Ho-Sik Ahn) 진덕은(Duk-Eun Jin) 임재식(Jae-Sik Lim) 강성호(Sung-Ho Kang)
- 간행물 정보
- 『방사선기술과학』방사선기술과학 제37권 제3호, 177~185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방사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자동노출제어를 이용한 X선 흉부촬영에서 AEC 위치를 알 수 있도록 고안 된 AEC 표지자 사용에 따른 환자 피폭선량 감소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흉부전용 디지털 X선 장비(DRS, LISTEM, Korea)를 이용하여 흉부촬영 검사를 하여야 하는 성인 남녀 880 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환자 모두에서 자동노출제어(이온 전리조 양측 상단 2개 사용) 사용하여 촬영하였다. 조사야 크기는 17×17inch, 관전압은 120kVp, 촬영거리는 180cm로 설정 하였다. 대조군 440명은 Detector 내에 양측 폐가 위치하도록 하여 촬영하였고, 실험군 440명은 이온 전리조 위치를 방사선사가 알 수 있도록 표지자를 만든 후 이온 전리조 위치에 양측 폐를 위치 할 수 있도록하여 촬영하였다. 모든 환자의 나이, 몸무게, 키와 DAP 값을 측정 하였으며, PCXMC2.0을 이용하여 환자의 유효선량 값을 계산 하였다. 대조군 440명(M:F=245:195)의 평균 나이는 53.9세였으며, 평균 BMI는 23.4였다. BMI 분포는 저체중 35 명, 정상 279명, 과체중 106명, 비만 20명이었고, 평균 DAP는 223.56mGycm 2 , 평균유효선량은 0.045mSv 였 다. 실험군 440명(M:F=197:243)의 평균 나이는 53.7세 였고, 평균BMI는 22.7이었다. BMI 분포는 저체중 34 명, 정상 316명, 과체중 85명, 비만 5명이었고, 평균 DAP는 207.36mGycm 2 , 평균유효선량은 0.041mSv 였다. 평균유효선량은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0.004mSv(9.7%) 감소하였다. 실험군 유효선량 표준편차의 2배인 0.056mSv 이상의 과다피폭을 받은 환자는 실험군에 비하여 대조군에서 많았다 (65명(14.7%) 대 19명(4.3%), p=0.006, t-test). 자동노출제어를 이용한 X선 흉부촬영에서 환자에 맞는 정확한 선량을 위해서는 이온 전리조 위치와 검사 부위를 일치 시켜야 하며 따라서 이온 전리조 위치를 알 수 있도록 고안한 표시 방법은 환자가 받을 수 있는 불필요한 방사선 피폭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d on effects of patient exposure dose reduction with AEC (Auto Exposure Control) marker that is designed for showing location of AEC in X-ray Chest radiography. It included 880 adults who have to use Chest X-ray Digital Radiography system (DRS, LISTEM, Korea). AEC (Ion chambers are posited in top of both sides) are used to every adult and set X-ray system as Field size 17x17inch, 120kVp, FFD 180cm. 440 people of control group are posited on detector to include both sides of lung field and the other 440 people of experimental group are set to contact their lung di-rectly to Ion chamber (making marker to shows location). Then, measured every DAP and, estimated pa-tient effective dose by using PCXMC 2.0. The average age of control group (M:F=245:195) is 53.9 and the average BMI is 23.4. BMI ranges from under weight: 35, normal range: 279, over weight: 106 to obese: 20 and average DAP is 223.56mGycm2, Mean effective dose is 0.045mSv. The average age of experimental group (M:F=197:243) is 53.7 and the average BMI is 22.7. BMI ranges from under weight: 34, normal range: 315, over weight: 85 to obese: 6 and average DAP is 207.36mGycm2, Mean effective dose is 0.041mSv. Experimental group shows less Mean effective dose as 0.004mSv (9.7%) than control group. Also, patient numbers who got over ex-posure more than 0.056mSv (limit point to know efficiency of AEC marker) is 65 in control group (14.7%), 19 in experimental group (4.3%) and take statistics with t-Test. The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s 0.006. In order to use proper amount of X-ray in auto exposure controlled chest X-ray system, matching loca-tion between ion chamber and body part is needed, and using AEC marker (designed for showing loca-tion of ion chamber) is a way to reduce unnecessary patient exposure dose.
목차
Ⅰ. 서 론
Ⅱ. 대상 및 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Ⅴ. 결 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Facial Exposure Dose Assessment During Intraoral Radiography by Radiological Technologists
- 수원시 소재의 한 대학 내 환경방사선량 측정 분석
- 자동노출제어를 사용한 X선 흉부촬영에서 AEC 표지자 사용에 따른 환자 피폭선량 감소 효과
- 방사선치료실 내의 광중성자 에너지 분포 평가
- 임상실습에 대한 방사선 전공 학생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 영상의학검사 일반촬영 분야의 촬영기법에 대한 분석
- X선 진단장치의 고압정류방식이 대조도 향상에 미치는 영향
- 보급형 3D 프린터로 제작한 쇄골 골절 모델을 이용한 정형외과 수술에 대한 유용성과 활용가능성 평가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BEST
- 고준위방사성폐기물 관리와 관련된 사회안전망 구축에 관한 연구
- 민간의료보험 해약 의향 영향 요인: 한국 의료 패널 2019년 2기 자료를 이용하여
- 호주 방사선 의료 전문가 면허제도 및 교육과정 고찰: 진단방사선사를 중심으로
의약학 > 방사선과학분야 NEW
- 무증상 치밀 유방 여성에서 인공지능 기반 컴퓨터 보조 진단 장치의 유용성 연구
- Cardiofocal Collimator를 이용한 SPECT 검사 활용 증대 방안에 대한 연구: Brain SPECT를 중심으로
- 심장초음파의 좌심실이완기능장애와 대사증후군의 상관관계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