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결측자료 분석방법에 대한 고찰과 활용
이용수 822
- 영문명
- Review and Application of Missing Data Methods: Focusing on longitudinal achievement data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신택수(Tacksoo Shin)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27권 제3호, 693~725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결측메커니즘의 개념과 다양한 결측분석방법을 고찰하고 이들 기법의 수행력을 확인하였다. 종단학업성취 자료를 이용하여 완벽하게 무선적으로 발생한 결측(missing at completely random), 무선으로 발생한 결측(missing at random), 무선적으로 발생하지 않는 결측(missing not at random) 등의 세 가지 메커니즘을 따르는 결측자료를 생성하
였고, 잠재성장모형 구조 하에서 전통적인 결측분석방법 부터 ML과 베이지안 기반 MI, 혼합모형과 선택모형 그리고 잠재계층기법을 활용한 결측분석방법 등을 세 가지 결측자료에 적용해 보았다. 분석 결과 ML과 베이지안 기반 MI가 적합도검증과 모수추정에 있어 가장 뛰어났으며, 잠재계층을 이용한 모형의 경우 결측지표와 성장궤적에 대해 개별적으로 계층을 추정하는 Muthén-Roy 패턴혼합모형이 가장 우수한 적합도 지수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결측자료 분석 과정에서 고려해야할 사항과 연구가 가지는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ained missing mechanisms and various missing data methods. Based on definition by Little(1982) and Rubin(1987), three types of longitudinal missing data sets (i.e., MCAR, MAR, and MNAR) were generated, and the effects of missing techniques were examined within latent growth modeling structu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ML and Bayesian type MI methods showed the best performance. They yielded the least bias parameter estimates and provided relatively stable model fit statistics across missing mechanisms. In the cases of latent class modelings for MNAR, Muthén-Roy pattern mixture model yielded the best fit statistics. While considering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dvantages and weaknesses of missing methods were discussed. Also, it dealt with other practical issues
pertaining to these missing data model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결측메커니즘과 결측자료분석방법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 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e-PBL 교수학습 설계모형이 ARCS모형을 매개로 한 동기요인과 학생성과에 미치는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 IRT 능력모수 추정을 위한 문항패턴-기반 방법과 합산점수-기반 방법의 원리와 기능 비교
- 결측자료 분석방법에 대한 고찰과 활용
- 형성평가의 재인식에 따른 교사와 학교교육의 변화를 위한 제언
- 교사 및 학교평가의 학교급별 차이와 관계 분석
- 부가가치 모형의 명세화 방법에 따른 추정치간 합치도 및 추정량의 효율성 비교
- 방과후학교 운영충실도를 적용한 정책성과 분석
- 검사의 차원 수가 다차원 문항반응모형의 총점에 미치는 영향
- 대학의 글로벌 인재 양성 및 해외취업 활성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현황 분석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