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나 해러웨이의 사이보그 페미니즘과 혼종적 주체: 「프랑켄슈타인」의 괴물을 중심으로
이용수 1,256
- 영문명
- Donna Haraway’s Cyborg Feminism and Hybrid Subject: Focusing on the Monster in Frankenstein.
- 발행기관
- 한국영미어문학회
- 저자명
- 하수정(Sujeong Ha)
- 간행물 정보
- 『영미어문학』영미어문학 제118호, 285~30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a ‘hybrid’ identity through Donna Haraway’s cyborg theory and rethinks about the monster which is created by Victor Frankenstein. The purpose is to find a theoretically useful feminist identity beyond ‘gender-based’ one which has taken little account of the contradictory aspects of women’s experiences. As a feminist standpoint theorist, Haraway tries to theorize various material relations between women and complicated reality on the point of the oppressed. Cyborg is a conceptual metaphor for the construction of a new discourse as well as the analysis of real life. It represents multi-layered women’s lives under globalized capitalism. The monster in Frankenstein resembles a cyborg in that it has hybridity and ambiguity beyond gender. It originates in Symbolic order, but cannot be admitted to the order. Without any origin or blood, it has to grow and develop on its own.
That alienation makes a cyborg/monster question the dominant ideology and destabilize it. Now, it is time for contemporary feminist theory to think over how to make the monster/cyborg a real modern Prometheus.
목차
1. 젠더 개념에 대한 문제제기: 페미니스트 입장이론과 다나 해러웨이
2. 사이보그와 경계적 존재
3. 혼종적 주체와「프랑켄슈타인」괴물
4. 프로메테우스적 페미니스트를 꿈꾸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추모의 공연: 보걸의 「볼티모어 왈츠」에 나타난 치유의 미학
- Rethinking of Seem -constructions
- 「투명한 물체들」의 양자론적 해석
- Suicide and Transformative Agency in Rohinton Mistry’s A Fine Balance
- 코울리지의 불안과 대처 전략
- 「오셀로」: 타자의 위장된 자아와 경계 허물기
- Reconsidered: should vs. must
- 관객반응을 위한 셰익스피어의 실험적 기법:「트로일러스와 크레시다」 를 중심으로
- 새로운 여성자아의 탄생: 주잇의 「흰 왜가리」
- 다나 해러웨이의 사이보그 페미니즘과 혼종적 주체: 「프랑켄슈타인」의 괴물을 중심으로
- 마크 트웨인의 셰익스피어 전유
- 「피그말리온」의 현재성:언어의 경계와 공존
- Using a Literature-based Approach in EFL Classes to Achieve ‘The Goals of Korean Education’: Perspectives of Three Native-Speaking English Teachers
- 셰익스피어와 정의:「태풍」을 중심으로
- 억압된 목소리의 복원: 「리어의 딸들」
- 「내가 운전을 배운 방법」에 나타난 탈주의 미학: 파편화와 통합의 대위법
- 고국은 없다: 돈 리의 「고국」에 나타난 인종과 정체성
- Land and Catholicism in Louise Erdrich’s Tracks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영화 <작은 아씨들>의 리메이크 전략: 멀티모달리티를 중심으로
- 코퍼스 분석을 기반으로 한 『빌레트』의 서술적 특징 연구
- 백인 교외의 ‘좋은 삶’에서 배제된 모성과 시민권: 셀레스트 잉의 『작은 불씨는 어디에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