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Aesthetics of Flight in How I Learned to Drive :A Counterpoint Between Fragmentation and Integration .
- 발행기관
- 한국영미어문학회
- 저자명
- 신지숙(Jisook Shin)
- 간행물 정보
- 『영미어문학』영미어문학 제118호, 219~23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how Paula Vogel dramatizes a new trauma paradigm in How I Learned to Drive , and suggests that this postmodern memory play demonstrates a new aesthetics of flight in pursuit of whole subjectivity. Li’l Bit’s memory and body have been fragmented since Uncle Peck’s initial molestation. However, she gradually overcomes her sexual trauma and reclaims agency through self-narrating to the audience. Vogel invites her audience to the process of integrating a fragmented self into a whole. Like Hélène Cixous, Vogel’s writing is concerned with fluidity and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and transcendence. Li’l Bit subverts a classical survivor-perpetrator dynamic by exercising the control of narrating and reconstructing past memories and finally integrates her past and present selves by forgiving Peck and forgiving herself about complicity in the relationship. Applying Deleuze’s concept of flight to Irigaray’s attention to personal subjectivity can be a creative reading of Vogel’s counterpoint between fragmentation and integration. Vogel’s metaphor of flight means the continual becoming of self and pursuing subjectivity of wholeness and thus opening up a new, transcendent future.
목차
1. 서 론
2. 신체와 기억의 파편화와 소외
3. 암묵적 공모와 권력전이
4. 용서와 치유의 통합 , 그리고 탈주
5.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내가 운전을 배운 방법」에 나타난 탈주의 미학: 파편화와 통합의 대위법
- 다나 해러웨이의 사이보그 페미니즘과 혼종적 주체: 「프랑켄슈타인」의 괴물을 중심으로
- 추모의 공연: 보걸의 「볼티모어 왈츠」에 나타난 치유의 미학
- 「투명한 물체들」의 양자론적 해석
- 「오셀로」: 타자의 위장된 자아와 경계 허물기
- 관객반응을 위한 셰익스피어의 실험적 기법:「트로일러스와 크레시다」 를 중심으로
- 새로운 여성자아의 탄생: 주잇의 「흰 왜가리」
- 마크 트웨인의 셰익스피어 전유
- Rethinking of Seem -constructions
- Suicide and Transformative Agency in Rohinton Mistry’s A Fine Balance
- 코울리지의 불안과 대처 전략
- Using a Literature-based Approach in EFL Classes to Achieve ‘The Goals of Korean Education’: Perspectives of Three Native-Speaking English Teachers
- Land and Catholicism in Louise Erdrich’s Tracks
- Reconsidered: should vs. must
- 「피그말리온」의 현재성:언어의 경계와 공존
- 셰익스피어와 정의:「태풍」을 중심으로
- 고국은 없다: 돈 리의 「고국」에 나타난 인종과 정체성
- 억압된 목소리의 복원: 「리어의 딸들」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