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온라인 소통 인프라 구축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이용수 594
- 영문명
- A Study on Cosmetic Purchasing Behaviors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of Online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Focused on the social network-
- 발행기관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 저자명
- 신다영(Da-Young Sin) 정연자(Yeon-Ja J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제16권 제3호, 129~14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2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im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NS-based cosmetics brand marketing and provide empirical data after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cosmetics brand’s SNS on women’s intention to buy cosmetics and obtaining results. For this, a preliminary study was conducted against 30 college women from ‘K’ University. For analysis, a total of 210 women in their 20s were sampled and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and respondents’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In terms of reliability analysis, Cronbach’s alpha was performed. For a feasibility test,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A collection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check for multicollinearity among variables. The study results found the followings: ‘Interactivity’, one of SNS message attributes, had a positive effect on respondents’ intention to buy cosmetics. However, ‘easy access’ had no effect on their intention to purchase cosmetics. From the consumers’ perspective, it appears that ‘easy access’ didn’t have a direct effect on their buying behavior. In addition, ‘information offering’ and ‘reli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respondents’ willingness to buy cosmetics.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ults would strengthen the importance of cosmetics brand’s SNS-based cosmetics bland marketing and accelerate the establishment of brand identity.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피부관리실의 경영효율성 향상을 위한 고객서비스 요인분석
- 수기요법과 초음파관리가 30~40대 중년여성의 피부상태에 미치는 효과
- 중국인 유학생의 미용행태에 관한 연구
- 화장품 선도사용자와 후기사용자의 심리적 특성과 사회적 활동 비교 연구
- 혈행성 감염관리에 대한 인식과 실천에 관한 연구
- 한·중 여성 헤어 커트 스타일 비교 연구
- 데페이즈망을 응용한 헤어디자인 연구
- 중·한 F/W 웨딩메이크업 색채와 이미지 트렌드 비교 분석
- 프랙탈 기하학을 활용한 헤어디자인 분석
- 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탐색효능감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 소통 인프라 구축에 따른 화장품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 미용실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와 파트너십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문헌 속의 고전머리 명칭과 형태에 관한 고찰
- 뷰티서비스업체의 불평처리서비스와 고객충성도 간의 관계
- 모발탈색 시 트리트먼트 처리에 따른 색차의 변화 연구
- 헤어미용 소셜커머스 추구혜택이 헤어서비스에 미치는 영향
- 전통보문(寶紋)을 응용한 헤어 장신구 제작연구
- 온열테라피와 수기요법이 인체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