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두경부 편평 세포암에서 예후인자로서의 p53 발현
이용수 5
- 영문명
- The Overexpression of p53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as Prognostic Marker
- 발행기관
- 대한두경부종양학회
- 저자명
- 정승원(Seung Won Jeong) 이형석(Hyung Seok Lee) 박철원(Chul Won Park) 박용욱(Yong Wook Park) 박찬금(Chan Keum Park) 장세진(Se Jin Jang) 태경(Kyung Tae)
- 간행물 정보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제17권 제2호, 169~173쪽, 전체 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종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53 tumor suppressor gene encodes a nuclear transcription factor that is critical regulator of cell growth and proliferation through its action in cell-cycle checkpoint control. The wide variety of stressful stmuli which include DNA damage, hypoxia, heat shock, metabolic changes activate the p53 protein, which in turn drives a series of events that culminate either in cell cycle arrest or apoptosis. Mutations of the p53 gene is the most common genetic alteration in human cancer. This gene is altered in approximately 40-60% of head and neck cancers. Whereas the wild-type form of the p53 protein plays a central role in cell-cycle control in response to DNA damage, most of the mutant forms are unable to do so. The high levels of p53 protein expression in tissues are related to the increased cellular proliferative activity and may be associated with the poor clinical outcome. To determine whether the expression of the p53 protein has prognostic significance and is associated with patterns of treatment failure in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HNSCC), We analyzed p53 overexpression in 40 cases of HNSCC.
Materials and Methods: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with a monoclonal antibody (DO7) specific for p53 protein was used to detect expression of the protein in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tumor samples from 40 HNSCC. We evaluated p53 protein expression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53 overexpression and age, sex, primary tumor site, stage, survival rate, recurrence. All reported P values resulted from two-sided statistical tests.
Results: Overexpression of p53 was detected in 20 cases(50%) among 40 cases of HNSCC. The p53 overexpression was not associated with age, sex, primary tumor site, stage, recurrence and survival rate.
Conclusions: In our results, p53 was not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in HNSCC. Based on many previous studies, It is evident that p53 has a certain role in tumorigenesis of HNSCC. So, the further study is needed to evaluate the prognostic significance of p53 in HNSCC.
목차
Abstract
서론
대상 및 방법
결과
고찰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갑상선암
- 두경부 편평 세포암에서 예후인자로서의 p53 발현
- 이상와루(Pyriform Sinus Fistula)에 대한 내시경적 경화요법의 3예
- 인간의 갑상선 결절성 과증식증과 유두상 암종에서의 Endothelial Nitric Oxide의 발현
- 갑상선 유두상 암종을 동반한 거대 경동맥체 종양 1예
- 한국인의 후두암 발생에서 음주, Aldehyde Dehydrogenase 2(ALDH2)와 N-Acetyltransferase 2(NAT2) 유전자 다형성의 역할
- 방사선 요오드-131의 국소주입에 의한 양성 갑상선 결절의 치료
- 성문상부암에서 N0 경부에 대한 예방적 방사선치료의 효과
- 요골측 전박유리 피판 실패 후 경장근 피판과 피부이식으로 재건한 하인두후벽암 1례
- 타액선에 발생한 상피-근상피암 4예
- 갑상선 여포상 선종과 암종의 감별진단에서 p27KIP1, MIB-1, bcl-2, p53 발현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
- 상악동내 발생한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 1예
- 유리피판 시대의 대흉근피판의 역할
- 비강 및 부비동의 반전성 유두종에서 인유두종바이러스검출과 p53및 c-erbB-2의 발현
- 장장근건과 전완유리피판술을 이용한 성대ㆍ인두재건술
- 하인두에 발생한 활막육종(Synovial Sarcoma) 1예
- 주타액선 종양의 임상적 고찰
- 국소 진행성 구강암에서 선행 항암 화학 요법의 효과
- 진행된 두경부암 환자에서 혈청 SCC 항원, CA 19-9, CA 125, DNA Microsatellite 변이와 재발 여부와의 관계
- 경부 원발부불명 전이성 암의 치료 결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