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진행된 두경부암 환자에서 혈청 SCC 항원, CA 19-9, CA 125, DNA Microsatellite 변이와 재발 여부와의 관계
이용수 3
- 영문명
- Relationship between SCC Antigen, CA 19-9, CA 125 and DNA Microsatellite Alterations and Recurrence in Advanced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 발행기관
- 대한두경부종양학회
- 저자명
- 최종욱(Jong Ouck Choi) 최정철(Jeong Cheol Choi) 주형로(Hyung Ro Chu)
- 간행물 정보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제17권 제2호, 148~154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종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serum SCC antigen, CA 19-9, CA 125 level and DNA microsatellite alterations (MSA) as prognostic factors and indicators for recurrences in the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state, respectively in head and neck cancer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120 patients who received curative treatment for head and neck cancer from 1995 to 2000 were followed up successfully, and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irty healthy subjects served as normal controls. Serum SCC Ag levels were measured by microparticle enzyme immunoassay technique via IMX SCC assay, CA 19-9 levels were measured by CA 19-9 RIA test kit, and CA 125 levels were measured by CA 125 IRMA kit. MSA were identified after PCR amplification. Heterozygosity was considered lost if the ratio of one allel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50%) in serum DNA compared with normal DNA from lymphocytes.
Results: Preoperative tumor markers were higher in cancer patients than control, but not significant. Postoperative SCC Ag levels were lower than preoperative levels. The SCC Ag levels were remained low in no evidence of disease (NED) group, but increased in locoregional recurrence and distant metastasis group. CA 19-9 and CA 125 levels showed no correlation between levels and recurrences and were not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primary tumor removal. MSA were detected in five out of 21 cases, and highly detected in distant metastasis group.
Conclusion: SCC Ag seems to be a helpful serum tumor marker for early detection of recurrence and distant metastasis of head and neck cancer after curative treatment. But, CA 19-9 and CA 125 were not reliable markers for head and neck tumors. MSA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cause of the small number of study group. However they may be helpful for screening serum molecular markers for early detection of distant metastasis of head and neck cancers.
목차
Abstract
서론
연구대상 및 방법
결과
고안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부갑상선암
- 두경부 편평 세포암에서 예후인자로서의 p53 발현
- 이상와루(Pyriform Sinus Fistula)에 대한 내시경적 경화요법의 3예
- 인간의 갑상선 결절성 과증식증과 유두상 암종에서의 Endothelial Nitric Oxide의 발현
- 갑상선 유두상 암종을 동반한 거대 경동맥체 종양 1예
- 한국인의 후두암 발생에서 음주, Aldehyde Dehydrogenase 2(ALDH2)와 N-Acetyltransferase 2(NAT2) 유전자 다형성의 역할
- 방사선 요오드-131의 국소주입에 의한 양성 갑상선 결절의 치료
- 성문상부암에서 N0 경부에 대한 예방적 방사선치료의 효과
- 요골측 전박유리 피판 실패 후 경장근 피판과 피부이식으로 재건한 하인두후벽암 1례
- 타액선에 발생한 상피-근상피암 4예
- 갑상선 여포상 선종과 암종의 감별진단에서 p27KIP1, MIB-1, bcl-2, p53 발현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
- 상악동내 발생한 악성 섬유성 조직구종 1예
- 유리피판 시대의 대흉근피판의 역할
- 비강 및 부비동의 반전성 유두종에서 인유두종바이러스검출과 p53및 c-erbB-2의 발현
- 장장근건과 전완유리피판술을 이용한 성대ㆍ인두재건술
- 하인두에 발생한 활막육종(Synovial Sarcoma) 1예
- 주타액선 종양의 임상적 고찰
- 국소 진행성 구강암에서 선행 항암 화학 요법의 효과
- 진행된 두경부암 환자에서 혈청 SCC 항원, CA 19-9, CA 125, DNA Microsatellite 변이와 재발 여부와의 관계
- 경부 원발부불명 전이성 암의 치료 결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