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갑상선 재발암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고찰
이용수 3
- 영문명
-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Recurrent Thyroid Cancer
- 발행기관
- 대한두경부종양학회
- 저자명
- 권오경(O Gyoung Kwon) 박성길(Sung Gil Park) 오성수(Sung Soo Oh)
- 간행물 정보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제16권 제1호, 58~63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종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0.05.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To demonstrate effective diagnostic method and proper management of recurrent thyroid cancer through to compare treatment and surveillance of I131 scanning detected recurrence and clinically detected recurrence.
Material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clinical information about 46 patients who has recurrent thyroid cancer of 298 patients who have been primarily operated due to thyroid cancer in PMC at the over 10 years between 1986 and 1995. We examine incidence of recurrence due to pathologic types, site of recurrence, disease free interval, detection method of recurrence, and also treatment and progression of recurrence. A patients in which the clinical examination was entirely negative and the I131 scan demonstrated either a new area of I131 uptake or an increased area of concentration, compared to the previous scan, was designated as a recurrence detected by I 131scan only. Recurrences that were obviously by physical examination or chest x-ray, etc were considered clinically detected recurrence, regardless of the the results of the thyroid scan.
Results: Mean of disease tree interval(DFI) is 36months. When mean DFI of I131 scan detected recurrence is 28months, whereas mean DFI of clinically detected recurrence is 47months. In statiscal analysis, p-value is 0.043 as significantly. In progression of recurrent patient, NED is 28case, AWD is Sease, DOD is 13case. Among the 13case, scan detected recurrence is lease of 20 patients(5%), whereas clinically detected recurrence is l2case of 26 patient(46%). In statiscal analysis, p-value is 0.003 as significantly.
Conclusion: Early detection of the recurrent thyroid cancer by I 131 scanning leads to good progress compare with detection by clinical examination.
NED: No Evidence of Disease AWD : Alive With Disease DOD : Dead Of Disease DOC: Dead of Other Cause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결과
고찰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두경부 혈관중심성 T세포 림프종의 발생주위 및 병기별 치료결과
- Neurofibromatosis Type I 환자에서 부인두강에 발생한 거대 신경섬유종증 1례
- 갑상선 우연암종의 임상병리적 특성
- 부인강에서 발생한 설하신경의 신경초종 1례
- 타액선 악성 종양 환자에 대한 치료성적
- 두경부 악성 종양 조직내 간질액 압력
- 피판 부전증의 구제를 위한 약용거머리 치료법
- 두경부 선양낭성암종에서 형광동소결합을 이용한 제17번 염색체의 다염색체 소견
- 갑상선 결절의 술전진단과 술후 조직학적 결과의 비교분석
- 이하선절제술시 Modified Facelift 절개의 유용성
- 갑상선 재발암의 진단과 치료에 대한 고찰
- 구강내 발생한 지방종 2례
- 설신경에서 발생한 신경초종 1례
- 후두암종에서 Ebstein-Barr 바이러스 DNA와 Bcl-2 단백의 검색
- 하인두 및 경부식도 결손의 재건
- 갑상설관 낭종에서 발생한 유두상 선암 1예
- 타액선 질환에 대한 세침흡인세포검사의 유용성
- 이하선의 다발성 소관선종(Canalicular Adenoma) 1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